노자 도덕경(道德經)에 근거한 사회복지실천관계론의 탐색

In Quest of Alternative Thoughts for Social Work Practice Relationship Based on Lao-tzu's Work of Tao Te Ching

  • 투고 : 2013.11.09
  • 심사 : 2013.12.23
  • 발행 : 2014.02.28

초록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관계는 사회복지실천의 중심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사회복지실천관계에 대한 현행 담론은 이론적 정향과 실천적 유용성 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사회과학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는 노자 도덕경은 유력한 대안 담론으로 검토될 만하다. 크게 본체론, 개체론, 수양론을 아우르고 있는 도덕경은 원인론, 인과론, 개체주의로 상징되는 서양철학의 전통과 달리 객관주의, 긍정적 비판주의, 인본주의, 평등주의, 상호성과 관계성을 지향하는 유기적 세계관을 지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노자 철학을 통해 사회복지실천관계론을 모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새로운 가능성을 도출해 보았다. 첫째, 사회복지실천의 지향점을 '자연적 인본주의'로 설정함으로써 실천관계를 인간본성에 근거한 상보적 존재로 규정한다. 둘째, 스스로 그러하다는 의미에서 자연스러운 존재로서 인간본성을 규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잠재적 가능성과 이를 저해하는 인위적 억압을 인식한다. 셋째, 노자적 관점을 취하는 사회복지사는 폐쇄적 전문주의를 넘어 성찰과 무위(無爲)의 실천 주체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노자 도덕경은 서구중심의 관계론이 가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항 대립적 한계를 넘어 한국적 사회복지실천 관계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론적, 실천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existing discourses about 'relationship', a key element of social work practice and questingly examines Lao-tzu's work of Tao Te Ching, the book of way and virtue, as an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 for social work relationship. Compared to current discourses of relationship beleaguered by either modernism or postmodernism, both of which are in the deadlock of binary perspective, the insights and vision in Tao Te Ching are successfully able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m and provide new and profound way of thinking about human, society and their relationship. Especially core cannons crystallized by natural humanistic concepts for cosmos coupled with innate critical power against artificial manipulations of world can exte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and social workers and therefore provide a new and attractive roles in professional relationship. Moreover, opposed to usual images of Lao-tzu's ideas such as nihilism and passivity, alternative relationship of social work can play an important role of caring the disordered reality where Dao disappered and criticise the selfish desires of individuals and comport the broken-hearted minds in modern society. In addition, results of this paper implies that more extended study articulating ideas of Tao Te Ching with the social work practice would have lots of potentials to promote later researches in quest of 'Korean' social work practi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