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Multi-sensory Effector System to Improve the Realistic of Virtual Underwater Simulation

가상 해저 시뮬레이션의 현실감 향상을 위한 다감각 효과 재현 시스템 개발 및 평가

  • 김철민 (동신대학교 디지털콘텐츠협동연구센터) ;
  • 윤재홍 (동신대학교 디지털콘텐츠협동연구센터) ;
  • 강임철 (동신대학교 디지털콘텐츠협동연구센터) ;
  • 김병기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 Received : 2013.10.21
  • Accepted : 2013.11.28
  • Published : 2014.01.31

Abstract

With recent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coupled with the growth of the marine industry, virtual underwater simulation systems are under development in various studies,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to simulate virtual reality experiences. Current literature indicates many underwater simulation systems to date have focused on the quality of visual stimulus delivered through three-dimensional graphics user interface, limiting the reality of the experienc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ality delivered by such virtual simulations, it is crucial to develop multi-sensory technology rather than focus on the conventional audio-visual interaction, which limits experiencer from the sense of underwater immersion and existence within the simulation. This work proposes the immersive multi-sensory effector system, delivering the users with a more realistic underwater experience. The sense of reality perceived was evaluated, as the main factor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과 해양개발 산업의 급성장으로 해양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 가상 체험, 교육 및 모의 훈련 등의 목적에 활용할 수 있는 가상 해저 시뮬레이션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가상 해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3차원 그래픽 기술을 통한 시각적인 체험을 위주로 개발되고 있어 체험자가 현실감을 경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해저 시뮬레이션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현실감 향상을 위해서는 모의적으로 생성된 가상환경에서 시청각적인 요소 이외의 감각적인 부분을 통해 사실적인 체험이 가능한 요소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저환경의 물리적 현상에 따라 다감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 해저 체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또한 제안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참가자 실험을 통하여 현실감에 대하여 평가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erard Jounghyun Kim, Designing Virtual Reality Systems: The Structured Approach, Springer-Verlag New York Inc., 2005.
  2. Junji Nomura and Kazuya Sawada,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s," Annual Reviews in Control, Vol. 25, pp. 99-109, 2009.
  3. Demetri Tezopoulos, "Artificial Life for Computer Graphic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2, No. 8, pp. 32-42, 1999.
  4. D.M. Popovic, R. Querrec, F. Harrouet, C.L. Gal, L.D. Servanati, and S. Morvan, "VirtualDive: A VR-Based Educational Virtual Environment," Seventh Intranational Symposium on Symbolic and Numeric Algorithms for Scientific Computing, pp. 191-198, 2003.
  5. H.C. Lee, E.S. Kim, N.K. Joo, and G.T. Hur, "Development of Real Time Virtual Aquarium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ork Security, Vol .6, No. 7A, pp. 58-63, 2006.
  6. Torsten Frohlich, "The Virtual Oceanarium,"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3, No. 7, 2000.
  7. David Zeltzer, "Autonomy, Interaction, and Presenc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 1, No. 1, pp. 127-132, 1992. https://doi.org/10.1162/pres.1992.1.1.127
  8. Jonathan Steuer,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42, No. 4, pp. 73-93, 1995.
  9. Gary Fontaine, "The Experience of a Sense of Presence in Intercultural and International Encounters,"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 1, No. 4, pp. 482-490, 1992. https://doi.org/10.1162/pres.1992.1.4.482
  10. KINECT for Windows, http://www.microsoft.com/en- us/kinectforwindows, 2013.
  11. B.S. Choi, E.S. Lee, and K.R. Yoon, "Streaming Media with Sensory Effect," Proc. Int. Conf. Information Science and Applications, pp. 1-6, 2011.
  12. B.G. Witmer, C.J. Jerome, and M.J. Singer,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resence Questionnair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 7, No. 3, pp. 298-312, 2006.
  13. 남현우, "가상현실에서의 감각 인터페이스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 2, pp. 13-22, 2001.
  14. 신찬수, 假象現實시스템의 現實感評價에 관한 硏究,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5. 윤재홍, 허기택, 강임철, "가상 수중 환경과 체감형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멀티미디어 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 560-568, 2012. https://doi.org/10.9717/kmms.2012.15.4.560
  16. 김철민, 강임철, 김병기 "가상 수중환경에서의 체감 시뮬레이션을 위한 수중 물리현상 모델링,"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2권, 제2호, pp. 528-531, 2009.
  17. 박화진, 조세홍,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을 위한 기술 및 사례에 대한 연구," 정보처리학회지, 제10권, 제1호, pp. 64-73, 2003.

Cited by

  1. 모바일 플랫폼 가상현실 콘텐츠에 적합한 게임패드/시선 기반 입력 처리 기술에 관한 연구 vol.22, pp.3, 2014, https://doi.org/10.15701/kcgs.2016.22.3.31
  2. 위치인식 기반의 군사 시뮬레이션 및 가상훈련 관리 시스템 vol.20, pp.1,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7.20.1.051
  3. 실감미디어 기반의 다감각 가상 체감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vol.20, pp.9,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7.20.9.1574
  4. 가상 도보 여행 시스템 vol.19, pp.4, 2014, https://doi.org/10.9728/dcs.2018.19.4.605
  5. HMD기반 몰입형 VR 학습에서 방해요인, 프레즌스, 몰입, 학습효과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 vol.21, pp.8,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8.21.8.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