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Obesity Effect of Enterococcus faecalis MD366 isolated from Raw Milk in Diet-Induced Obese Mice

원유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 MD366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비만 억제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11.19
  • Accepted : 2014.12.1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Enterococcus faecalis MD366, isolated from raw milk, in diet-induced obese mice. To examine the effect, male C57BL/6J mice were fed for six weeks on three different diets, i.e., a normal diet and orally administrated saline solution (ND), a high-fat diet and orally administrated saline solution (HFD), and a high-fat diet and orally administrated E. faecalis MD366 ($10^9CFU/day$) in saline solution (HFD+MD366). After six weeks, the rate of increase in body weight was 18.1% lower in the HFD+MD366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HFD group. In addition, the weight of epididymal fat pad in the HFD+MD366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HFD group. The average levels of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TC),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were slightly reduced in the HFD+MD366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HFD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Measuring the adipocytes revealed that the percentage of adipocytes with a size of $2,000{\mu}m^2$ was higher than the percentages of other size classes in ND and HFD+MD366 groups, while the percentage of adipocytes larger than $5,000{\mu}m^2$ was highest in the HFD group. The mean adipocyte size in the HFD+MD366 group was smaller than that in the HFD group.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장기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및 혈장 지질 농도가 E. faecalis MD366 균주의 투여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E. faecalis MD366균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를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고지방식이와 함께 E. faecalis MD366 균주를 경구투여한 군(HFD+MD366)으로 나누어 6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6주 후 무게는 ND, HFD+MD366, HFD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초기 무게 대비 체중 증가율은 HFD+MD366군이 HFD군에 비해 18.10% 감소하였다. 간과 신장, 고환의 장기조직 무게는 세 군 모두 비슷하였으며, 부고환 지방의 평균무게의 경우 ND군이 가장 작았으며, HFD+MD366군은 HFD군 보다 작게 나타났지만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E. faecalis MD366의 투여가 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TG의 농도는 HFD+MD366군이 HFD군에 비해 감소하기는 했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치에 있어서도 HFD+MD366군이 HFD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적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의 분포를 본 결과 ND와 HFD+MD366군은 $2,000{\mu}m^2$ 크기의 지방세포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HFD군에서는 $5,000{\mu}m^2$ 이상 크기의 지방세포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지방 세포의 평균 크기는 ND, HFD+MD366, HFD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체중과 장기, 지방 무게와 혈청 지질농도 수치에는 E. faecalis MD366 균주가 큰 효과를 보이지 못했지만 부고환 지방세포 형성 및 지방세포 크기 증가를 저해함으로써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