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erence of Stroke Patients for Bathroom Environment in Residential Space

뇌졸중 환자가 선호하는 주거공간의 욕실 환경 특성

  • Lee, Kyoung-M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Medwill Hospital) ;
  • Kim, Yu-Se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Kaya University) ;
  • Yoon, Su-Jeo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Ulsan Metropolitan City Gangnam Office of Education) ;
  • Hong, Ki-Ho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 ;
  • Lee, Chun-Yeop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
  • 이경민 (메드윌병원 작업치료실) ;
  • 김유선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윤수정 (울산광역시 강남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 ;
  • 홍기훈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이춘엽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4.10.30
  • Accepted : 2014.11.24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bathroom environment for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7 who have experience in rehabilitation therapy at hospitals in Busan.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February 24th to March 13th, 2014. Results : First, the subjects demand for improvement that non-slip tile and safety handle on bathtub. Second, they preferred the sliding door, sliding door handle, shower booth of convenient facility, non-slip tile, built-in cabinet, L-shaped safety handle, natural ventilating window, floor heating, easier bathtub to enter, bathtub with handle, tilted sink, water temperature index, toilet with safety handle, and bath chair. Conclusion :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bathroom environment for safety and ease in use.

목적 : 뇌졸중 환자가 요구하는 주거공간의 욕실 환경 특성을 알아보고 욕실 환경을 개선할 때 필요한 욕실 디자인 특성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4년 2월 24일부터 3월 13일까지 부산지역의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97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욕실 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 조사 결과 미끄러움 방지 타일 설치($3.63{\pm}1.29$)와 욕조의 안전바 설치($3.46{\pm}1.39$)가 높게 나타났고 남자에 비해 여자의 요구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욕실디자인 특성 선호도 조사에서 뇌졸중 환자들은 미닫이문, 미닫이형 손잡이, 편의시설형 샤워부스, 미끄러움 방지 타일, 붙박이 수납장, L자형 안전바, 자연환기(창문), 바닥 난방, 들어가기 쉬운 욕조, 안전바가 설치된 욕조, 기울어지거나 물 온도가 표시되는 세면대, 안전바형 변기, 목욕 의자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욕실 환경에 대한 개선요구와 욕실디자인 특성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뇌졸중 환자들이 요구하는 욕실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