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감각통합치료효과에 대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Level of Single Subject Researches in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ield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 곽성원 (강원대학교 작업치료전공) ;
  • 심제명 (강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노효련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wag, Sung-W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im, Je-Muang (Dept. of Physical Therap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Roh, Hyo-L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4.11.11
  • 심사 : 2014.12.08
  • 발행 : 2014.12.31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효과에 대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작업치료학회,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3년 까지 발간된 논문 중 '감각통합', '단일대상연구', '응용행동분석'을 주요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17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선별하여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설계 방법으로는 반전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총 회기와 연구기간, 중재시간은 다양하였고 중재 장소는 작업치료실과 감각통합실에서 이루어졌다. 대상자는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다. 질적 수준은 모든 연구들이 중간수준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은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었으나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applying single subject researches in the field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and evaluating the quality level of them. Methods :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17 single subject research papers (independent variable, study design, study subject, total number of session, study period, intervention time, intervention place, dependent variable, measuring tool and result)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3 using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National Discovery for Science Leaders (NDSL), Nuri Media (DBpia),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evaluated the literatures using quality evaluation scale. Results :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n the literature characteristics, reversal design was the most used study method. Total number of session was 10 sessions to 34 sessions. Study period was 4 weeks to 16 weeks. Intervention time was 8 minutes to 70 minutes and most interventions were done in occupational therapy room or sensory integration therapy room. According to the result of quality level evaluation, 4 papers out of 17 papers were on high level and remaining papers were on intermediate level. However, there was no study which included intervention blind. Conclusion : Suggested standard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and discussions on qualitative improvement including repetitive research on the mediation effect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ology, the securement of adequate data sections, and processing of a mediation bli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ducting a better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위영. (2001). 특수교육 학술지의 최근 30년간 연구주제의 분석과 연구동향 조명. 정서.학습장애연구, 17(1), 1-18.
  2. 권정혜. (1991). 임상에서의 단일사례 실험연구법. 현장 연구방법론 각론.
  3. 김경미. (2009).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7(2), 77-90.
  4.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서혜선, 손희정, 신채민. (2010). 체계적 문헌고찰 및 임상진료지침 매뉴얼 개발. 한국보건의료 연구원 보고서.
  5. 김유리, 노진아. (2011).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방법 분석. 특수아동교육 연구, 13(4), 357-383.
  6. 김은자, 이승희. (2002). 유아특수교육관련 연구논문 동향분석 1990년부터 2001까지의 국내전문학술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37(3), 171-194.
  7. 이소현, 박은혜, 김영태. (2000). 교육 및 임상현장 적용을 위한 단일대상 연구. 서울: 학지사.
  8. 이영순. (2011). 영상관법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미친 영향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박사학위논문. 동방대학원대학교, 서울.
  9. 이은림. (1998). 학습장애 연구에 관한 최근동향 분석 국내 자료를 중심으로. 정서.학습장애연구, 14(2), 247-269.
  10. 최유임, 김은주, 박은영. (2012). 한국작업치료분야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에 대한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4), 111-124.
  11. 최희승, 박경옥. (2012). 질적 지표에 근거한보완.대체의 사소통 관련 단일 대상연구 문헌 분석. 지체.중복. 건강장애연구, 55(4), 329-350.
  12. 하지연. (2000). 특수체육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8(2), 17-35.
  13. 한성희, 남윤석. (2005). 특수교육에서의 단일대상연구 적용의 질적 개선을 위한 문헌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0(2), 103-130.
  14. Ayres, A. J. (1972). Sensory integration and learning disorders. Los Angel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5. Brown, G. T., Rodcer, S., Brown, A., & Rover, C. (2005). A comparison of Cannadian and Australian pa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2(3), 137-161. https://doi.org/10.1002/oti.2
  16. Cooper, J. L., Heron, T, E., & Heward, W, L. (1987) Applied behavior analysis. Columbus, OH: Merrill.
  17. Holm, M, B. (2000). Our mandata for the new millenium: Evidence-based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6), 577-585.
  18. Horner, R. H., Carr, E. G., Halle, J., McGee, G., Odom, S., & Wolery, M. (2003). The use of single 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Retriev ed December, 27, 2004, from http://interactzuoregon.edu
  19. Logan, L. R., Hickman, R. R., Harris, S. R., & Heriza, C. B. (2008).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Recommendations for levels of evidence and quality rating. Develop 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50(2), 99-103. https://doi.org/10.1111/j.1469-8749.2007.02005.x
  20. McCormick, S. (1992).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Rationale, tenets, and basic design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Reading Conference (42nd, San Antonio, TX, December 2-5, 1992). ERIC, No. ED354477.
  21. Storch, B, A., & Eskow, K. G. (1996). Theory application by school-besed occupational therapis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0(8), 662-668. https://doi.org/10.5014/ajot.50.8.662
  22. 김경미, 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개별실험 연구. 재활과학연구, 46(4), 103-130.
  23. 김경미, 홍은경. (2011). 지적장애 아동의 균형과 호흡 기능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치료: 개별실험 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9(1), 33-44.
  24. 김미점, 박재국. (2006).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균형 및 시각 주의 집중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4(1), 81-90.
  25. 김보경, 박신희, 방현선, 천송이, 한재화, 전병진. (2010).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에 문제가 있는 자폐스펙트럼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8(4), 113-125.
  26. 김은성, 김경미. (2008). 감각통합치료가 아스퍼거아동의 전정.고유감각 처리능력에 미치는효과.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6(1), 35-46.
  27. 이나핼, 이상헌, 박웅식. (2009). 감각통합치료가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지속적인 몰두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2), 55-64.
  28. 이상헌. (2004). 스노젤렌(Snoezelen) 공간이 중증도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자극 행동에 미치는 치료적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2(2), 73-81.
  29. 유은영, 이지연. (2005). 무게감 있는 조끼(weighted vest)의 착용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1), 37-44.
  30. 장문영, 김경미, 권혁철. (2003).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기능적 쥐기에 미치는 영향.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1(1), 9-16.
  31. 정병록, 정보인. (2009). 자폐아동의 상동행동치료에서 감각통합치료와 응용행동분석의 치료 효과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1), 17-27.
  32. 주진옥, 이혜림, 김경미. (2011).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아동의 자기조절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감각 통합치료학회지, 9(2), 15-28.
  33. 지석연, 남궁연. (2002).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아동의 자세조절, 양측협응, 운동계획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0 (1), 63-70.
  34. 한미애, 김지연, 장기연, 박미진. (2010). 감각 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이 미치는 영향.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8(1), 1-13.
  35. 함보현, 김수경, 이재신, 전병진. (2012).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글씨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2), 55-71.
  36. 홍미영, 김진경, 강대혁. (2011). 감각통합활동 동영상이 지적장애아동의 자발성과 과제 수행율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11(5), 260-269.
  37. 홍은경. (2009). 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자세 조절과 시각-운동 통합 능력에 미치는 영향. 재활과학연구, 48(4), 77-99.
  38. 홍은경, 김경미. (2007). 자세조절 능력의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치료적 접근: 개별 실험 연구. 재활과학연구, 46(3), 175-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