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중기 이후 가사(袈裟)의 유형과 변천

The Types and Transition of Kasaya since the Mid Joseon Dynasty

  • 투고 : 2013.08.13
  • 심사 : 2013.01.13
  • 발행 : 2014.02.28

초록

This i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n Kasaya, the Buddhist monk's robe,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s that has kept it original form, as well as it being the most symbolic ritual costume in Buddhis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the different types of Kasaya, and the transitions it has gone through since Mid Joseon Dynasty. The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categorizing Kasaya in the following manner: layers, the way to wear, symbolism in construction, sewing, etc. Having a variety of Ilwolguangcheop(日月光貼) is a feature of Korean Red Kasaya. In the beginning, Its shape was very similar to shape of Hyungbae(胸背), and this was a royal gift and had the same meaning as an official uniform for a Buddhist monk. So designs of the Cheop(貼) could have been transformed from those of Hyungbae with a Buddhist twis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Double layered Kasaya shows its transition from double layer to single layer. The fastening ornaments have been simplified in all materials from Yeongja(纓子). The latch type and three-paired Yeongja type transformed into hook type and one-paired Yeongja type. Color is the most common feature above all, and it is mainly in red. The form of Korean Kasaya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development of Buddhism. The integration of the Zen sect would have influenced the integration of Kasaya, which shows diversity throughout the period.

키워드

참고문헌

  1. 홍법원 편 (1994), 불교학대사전, 서울: 홍법원, p. 1220
  2. 문소운 (2012), 한국전통가사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81-82.
  3. 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08), 한국의 사찰문화재, 서울: 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p. 15
  4. 이인영, 홍정민 (2006), 금강사 소장 금란가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9(3), pp. 87-93
  5. 문소운 (2012), 한국전통가사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79.
  6. 허동화 (2001), 이렇게 좋은 자수, 서울: 한국자수박물관 출판부, pp. 252-253
  7. 수덕사근역성보관 편 (2006), 지심귀명례, 충남: 수덕사근역성보관, pp. 190-195
  8. 김경숙, 안명숙 (2005), 한국의 가사, 서울: 대원사, pp. 58-59.
  9. 고려대학교박물관 편 (1990), 복식류 명품도록,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p. 102.
  10. 성보문화재연구원 편 (2005), 한국의 불화 34, 경남: 성보문화재연구원, pp. 172-182
  11. 문명대 (2010), 청룡사, 서울: 한국미술사연구소 출판부, pp. 64-65.
  12. 통도사성보박물관 편 (1992), 한국의 불화 초본, 경남: 통도사성보박물관, p. 39.
  13. 이지관 (2009), 가산불교대사림 11권, 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p. 193.
  14. 한기선 (1985), 조선조 세종의 신불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8.
  15.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편 (2008), 화엄사 괘불,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24.
  16. 불설가사공덕경 (1800),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불교학 자료실 소장.
  17. 태고종 종단사간행위원회 (2009), 홍가사, 서울: 중도, pp. 16-17.
  18. 조선불교통사역주편찬위원회 이능화편 (2010), 역주 조선불교통사 5,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p. 372.
  19. 조선불교통사역주편찬위원회 이능화편 (2010), 역주 조선불교통사 5,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p. 373.
  20. 박성실, 심연옥, 이은주 (2003), 중요민속자료 조사보고서-선암사 소장 가사.탁의, 대전: 문화재청, p. 31.
  21. 박성실, 심연옥, 이은주 (2003), 중요민속자료 조사보고서-선암사 소장 가사.탁의, 대전: 문화재청, p. 15.
  22. 문소운 (2012), 한국전통가사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82-83.
  23. 고려대학교 박물관 편 (1990), 복식류 명품도록,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p. 102.
  24. 이인영, 홍정민 (2006), 금강사 소장 금란가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9(3), pp. 90-91.
  25. 문소운 (2012), 한국전통가사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81.
  26. 김경숙, 안명숙 (2005), 한국의 가사, 서울: 대원사, p. 58.
  27. 통도사성보박물관 편 (1992), 한국의 불화 초본, 경남: 통도사성보박물관, p. 39.
  28. 정조 42권, 19년(1795) 4월 28일, 戊申/咸興, 永興兩本宮儀式成. 有曰太白祭, 祭於祭星壇. ....是日又設五箱祭於其傍, 旣撤又設袈裟祭於壇之西. 永興行於宮垣之內有壇, 惟五箱, 袈裟祭不設, 器品六十有四, 比咸興多二十.
  29. 조선불교통사역주편찬위원회 이능화편 (2010), 역주 조선불교통사 6,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p. 289.
  30. 조선불교통사역주편찬위원회 이능화편 (2010), 역주 조선불교통사 6,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pp. 666-667.
  31. 월정사성보박물관편 (2002), 월정사성보박물관 도록, 강원도: 월정사성보박물관, p. 111.
  32. 태고종 종단사간행위원회 (2009), 홍가사, 서울: 중도, pp. 99-100.
  33. 조선화보사 편 (1986), 고구려고분벽화, 동경: 조선화보사, p. 118.
  34. 시공사 편 (2000), 고려불화, 서울: 시공사, p. 128.
  35. 성보문화재연구원 편 (2007), 한국의 불화 39, 경남: 성보문화재연구원, p. 24.
  36. 성보문화재연구원 편 (2004), 한국의 불화 31, 경남: 성보문화재연구원, p. 154.
  37.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180154).
  38. 홍법원 편 (1994), 불교학대사전, 서울: 홍법원, p. 553.
  39.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180155).
  40. 석주선 (1979), 흉배,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64.
  41. 석주선 (1979), 흉배,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67.
  42. 강선정, 조우현 (2011), 조선중기 서산대사와 벽암대사의 가사 유물에 관한 연구, 복식, 61(3), p.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