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타락(駝酪)의 한반도 수용과 의미 변천

Changed Conception of Korean Tarag

  • 투고 : 2014.01.20
  • 심사 : 2014.02.17
  • 발행 : 2014.02.25

초록

Objective : Tarag refers to fermented milk,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daily food of summer in nomadic culture. Also, tarag is cleary defined as a fermented milk product in most of east Asian medical texts. When it comes to tarag-juk described in Korean medical texts, however, there is no definite distinction between milk porridge and tarag-juk. This paper is aimed at finding out whether tarag was merely meaning milk in Joseon. Method : Historical documents of related historical stage, Tibetan and East Asian medical texts, and some cookbooks are mainly consulted, as well as other sources that contains the perception of tarag in Korean history. Result : Tarag is documented as fermented milk in the medical texts of herbs, while tarag-juk is defined as milk porridge in some medical texts in Korea. In one of the Mongolian-Korean dictionary of 18C, milk tea is explained as tarag tea. Conclusion : Although there is not much evidence to back up this conclusion with satisfaction, it would not be to much to say that conception of tarag met some changes from yogurt to boiled milk during Joseon dynasty.

키워드

참고문헌

  1. 賈思勰 著. 구자옥, 홍기용, 김영진 역주. (역주) 제민요술. 수원. 농촌진흥청. 2006. pp.470-472.
  2. 康命吉. 濟衆新編. 韓國醫學大系18. 서울. 驪江出版社. 1992. p.183.
  3. 權採. 鄕藥集成方. 韓國醫學大系7. 서울. 驪江出版社. 1992. p.545.
  4. 金禮蒙 外. 原文醫方類聚16. 서울. 驪江出版社. 1994. p.2.
  5. 金綏. 需雲雜方(영인본). 安東. 1988.
  6. 曇無讖, 加提婆 譯. 大般涅槃經.增一阿含經. 서울. 景仁文化社. 1986. p.343.
  7. 唐慎微 編. 張存惠 重刊.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pp.316-317.
  8. 刘秀惠, 程永德, 程广德. 北京民間食療. 北京. 北京燕山出版社. 1991. p.66.
  9. 物集高見 編. 新註 皇學叢書 第四卷 新撰姓氏錄. 東京. 廣文庫刊行會. 1928. p.200.
  10. 박원길, 김기선, 최형원. 몽골비사의 종합적 연구. 서울. 민속원. 2006. pp.154-157.
  11. 三木 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서울. 法仁文化史. 1988. pp.26-27.
  12. 徐有榘. 仁濟志. 韓國醫學大系48. 서울. 驪江出版社. 1992. p.357.
  13. 서울大學校 奎章閣韓國學硏究院 編. 蒙語類解.捷解蒙語. 서울. 서울大學校 奎章閣韓國學硏究院. 2006. p.98.
  14. 續修四庫全書編纂委員會 編. 居家必用事類全集. 續修四庫全書1184.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0. pp.589-590.
  15. 吳謙 外 編. 醫宗金鑒. 北京. 中國中醫葯出版社. 1995. p.309, 313.
  16. 王威 主編. 藥粥藥湯藥酒藥飮. 北京. 中國書店. 1992. pp.11-12.
  17. 이성우. 고대한국식생활사연구. 서울. 향문사. 1994. pp.334-335.
  18. 李時珍. 本草綱目. (影印)文淵閣四庫全書774.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5. pp.452-453.
  19. 張介賓 著. 李南九 懸吐註釋. 景岳全書. 서울. 法仁文化社. 2007. p.217.
  20. 張子和. 儒門事親. (影印)文淵閣四庫全書745.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5. p.101.
  21. 著者未詳. 本草精華. 韓國醫學大系41. 서울. 驪江出版社. 1992. p.238.
  22. 全循義 著. 金種德 譯. 食療纂要. 수원. 농촌진흥청. 2004. p.116.
  23. 帝瑪尔, 丹增彭措. 晶珠本草. 上海. 上海科学技术文献. 2012. pp.216-217.
  24. 朱權. 活人心法. 국립중앙도서관 마이크로필름자료. 서울. 2005.
  25. 許浚. 東醫寶鑑. 서울. 南山堂. 2004. p.81, 146, 153, 290, 511, 693.
  26. 忽思慧. 飮膳正要.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2011.
  27. 홍만선 著. 민족문화추진회 옮김. 국역 산림경제.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007. p.318, pp.337-338.
  28. 黃道淵. 本草附方便覽. 韓國醫學大系24. 서울. 驪江出版社. 1992. p.459.
  29. Bold Sharav. History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Mongolian Medicine. Ulaanbaatar. 2009. pp.78-79, 119-124.
  30. Редактор С. Бадамхатан. Бнмау-ын Угс аатны зүй 1. Улаанбаатар. Улаанбаатар. 1987. pp.176-177.
  31. 김나영. 타락죽의 조리과학적 특성(I): 재료배합비에 따른 특성. 자연과학연구논문집. 1999. 8(1). p.2.
  32. 김일우. 고려시대 耽羅 지역의 牛馬飼育. 사학연구. 2005. 78. pp.96-98.
  33. 김재효, 김성철, 정헌영, 김용, 권오상, 김경식, 손인철. 知聰의 實存과 古代 韓國 醫學交流에 대한 役割. 대한한의학회지. 2007. 28(3). pp.74-75.
  34. 김지영, 김주봉, 이영현. 팽화미분 첨가에 따른 타락죽의 pH, 수분, 고형분, 총당, amylose, 점도, 퍼짐성 및 색도 변화.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09. 13(2). p.159.
  35. 안종성, 공석길, 조성현. 현미를 첨가한 타락죽에 관한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3. 26(3). p.509. https://doi.org/10.9799/ksfan.2013.26.3.508
  36. 이귀주, 김정은, 김윤선. 아밀로즈 함량별 타락죽의 효소저항전분 함량,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6. 21(2). p.172-173.
  37. 이영덕, 유혜림, 황지연, 한복경, 최혁준, 박종현. 김치와 타락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0. 23(4). pp.665-666.
  38. 임구상, 이경수, 장혜진, 정진경, 임지영, 전태훈, 한영숙, 오세욱. 우리나라 전통 발효유타락의 미생물 균총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3. 42(7). pp. 1110-1111.
  39. 정진경. 전통발효유 타락의 일부 발효특성과 미생물분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p.7.
  40. 조미숙. 근대 이후 죽의 조리과정 변화 연구-팥죽, 잣죽, 타락죽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1. 24(4). pp.598-599. https://doi.org/10.9799/ksfan.2011.24.4.589
  41. 한인준, 송범석, 이주운, 김재훈, 최갑성, 박정로, 전순실. 방사선 조사 온도가 타락죽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1. 40(9). p.1308.
  4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43. 승정원일기 http://sjw.history.go.kr/
  44.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45.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고전명저총서 http://jisik.kiom.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