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Regional Space Structure of Chungcheong Region through Land Prices

지가를 통한 충청권의 지역공간구조분석

  • Kim, Yong Hee (Department of Real Estate, Seoul Cyber University)
  • 김용희 (서울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4.10.20
  • Accepted : 2014.11.23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ituation and space structure of Chungcheong Region using the variables of land prices. The total amount of land prices of Chungcheon Region was 950 trillion KRW as of December 2013, showing that it has increased by 6.46 times compared to 147 trillion KRW of 1980, which was the time of initial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ynamic changes in the region based on the land prices from 1980 through 2013,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pace structures only in the 1980s. The analysis of centrality based on the land prices of Chungcheong Region has shown that the center of Chungcheong Region was to the northeast of Sejong City in the 1980s and moved to the right with the rise in the land prices of Daejeon Region. The standard deviation of distance showed concentration around Daejeon entering the 1990s from the 1980s, and almost no concentration has been found after that.

충청권을 대상으로 지가변수를 이용하여 충청지역의 현황과 공간구조를 분석하였다. 충청권의 지가총액은 2013년 12월 현재 950조로 산출되었으며 이는 분석대상의 최초시점인 1980년 147조보다 6.46배의 지가상승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80~2013년까지 지가를 기준으로한 지역의 동태적 공간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공간구조의 변화를 가져온 것은 1980년대뿐이었다. 충청권의 지가를 중심으로 한 중심성 분석의 결과 1980년대에는 충청권의 중심이 세종시의 북동쪽에 위치하였다가 대전권의 지가상승과 더불어 우하향으로 이동하였다, 표준편차거리는 1980년대에서 1990대로 진입하는 과정에 대전을 중심으로 집중화가 일어났으며, 그 이후에는 집중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