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연구시설.장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인식조사와 등록프로세스 개선요인 도출

A Study on Recognition Methodology and Deduction Improvement Factors of the Registration Process for the Efficient Use of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

  • 투고 : 2014.09.29
  • 심사 : 2014.12.03
  • 발행 : 2014.12.01

초록

정부는 과학기술 핵심 인프라인 연구시설 장비의 이용 효율화를 위해 국가 연구개발 사업예산을 통해 구축한 연구시설 장비를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NTIS)에 등록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연구시설 장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연구기관 구성원의 인식도 조사를 시행하고, 식스시그마 DAMIC 방법론을 통해 국가연구시설 장비 등록 프로세스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함으로써 국가연구시설 장비의 운영 선진화와 활용 극대화 정책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먼저 연구시설 장비의 대학 관계자인 연구책임자, 보직교수, 대학원생, 연구원,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인식도 조사 결과, 연구시설 장비의 전주기적 관리와 구체적인 절차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의 경우 국가연구시설 장비의 운영선진화와 활용극대화를 위해서는 대학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대학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정책 추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시설 장비 등록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식스시그마 방법을 통해 CTQ-Y로 연구시설 장비 등록기한 준수율과 연구시설 장비 등록정확도를 선정하였다. Process Map과 C&E Diagram을 통해 72개 잠재원인변수를 도출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X-Y Matrix와 Pareto Chart를 통해 최종적으로 13개 잠재원인변수를 확정하였으며 개선안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기관마다 연구기관의 특성에 맞게 등록프로세스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원인변수를 추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상세개선안을 마련함으로써 국가연구시설 장비의 활용 극대화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vernment mandates that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 through R&D business budget should be registered on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for the purpose of the efficient use of the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national policies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 by recognition methodology with the university's members and analysis of the impact factors of the universities' registration process improvement through the Define level and Measure level of the Six Sigma DAMIC. The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on research directors, professors joining university administration, graduate students, researchers, and staffs of A University. The findings are the lack of understanding specific steps and life-cycle management of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 It is necessary to collect suggestions from universities and pursue policies consider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for advanced operating and maximizing use of university's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 enrollment compliance rate and registration accuracy were selected as CTQ-Y through the Six Sigma. 72 potential cause variables were derived through Process Map and C & E Diagram. 13 variables were determined as core potential factors through the X-Y Matrix and Pareto Chart. Research institutions should maximize utilization of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 through deriving a potential variables of the process improvements and designing a detail improvem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중억 (2008), 국가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a), 국가연구시설.장비의 운영.활용 고도화계획(안)(2013년-2017년).
  3.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b), 2013년도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결과 및 이용 효율화 종합 대책(안).
  4.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2012), 과학기술인프라의 개념 이해와 정의 및 범위, POLISSUE, No. 5.
  5.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2014a), 연구장비 중복성의 개념 이해와 조사방법론, POLISSUE, No. 6.
  6.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2014b), 노후장비의 개념 정립 및 관리방안, POLISSUE, No. 11.
  7. 권기헌.차용진.이홍재 (2007),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형연구시설 및 장비평가모형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0(1): 121-142.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 표준지침.
  9. 박건식 (2014), "서울대학교 연구장비의 효율적 활용 방안", 과학과 기술, 538: 24-27.
  10. 설성수.김인호 (2006), "한국의 연구장비 현황과 구축패턴", 기술혁신학회지, 9(3): 471-495.
  11. 이상복 (2012), 6시그마 이론과 실무, 서울: 이레테크.
  12. 임성민.정욱 (2009), "공공 R&D 시설.장비의 공동 활용 전략에 대한 연구: 사업별 서비스 품질 개선 및 운영주체의 역할 재조정", 기술혁신학회지, 12(2): 388-412.
  13. 조만형.박종우.이형진 (2014), "국가 연구시설장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법제화 방안", 과학기술법연구, 20(1): 497-530.
  14. 함명인.이재원 (2013), "연구장비 구축 연구기관 네트워크 분석: 지식경제부 R&D 사업 대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3): 307-317.
  15. 홍재근 (2012), "연구장비 인프라의 사용자 중심 서비스 혁신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황병상 (2005), "연구장비공동활용 정책집행의 영향요인과 발전방안 논고", 한국기술혁신학회 2005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 Aboelmaged, M. G. (2010), "Six Sigma Quality: A Structured Review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and Reliability Management, 27(3): 268-317. https://doi.org/10.1108/02656711011023294
  18. H.M. Treasury (2006), "Science and Innovation Investment Framework 2004-2014: Next Steps", http://webarchive.nationalarchives.gov.uk/+/http:/www.hm-treasury.gov.uk/media/7 /8/bud06_science_332v1.pdf (2014. 9. 20.).
  19. Swink, M. and Jacobs, B. W. (2012), "Six Sigma Adoption: Operating Performance Impacts and Contextual Drivers of Success",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30(6): 437-453. https://doi.org/10.1016/j.jom.2012.0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