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패션디자인의 저작권법상 보호 가능성에 대한 고찰 - 저작물의 성립요건과 보호대상 저작물의 유형 검토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ossibility of Legal Protection of Fashion Designs under the Copyright Law - Based on the Review of the Requisites of Works of Authorship and their types -

  • 조경숙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투고 : 2013.10.14
  • 심사 : 2013.12.23
  • 발행 : 2014.01.31

초록

The author has explored whether legal protection of fashion designs is possible under the current Korean Copyright Act with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legal principles of the copyright law among fashion professionals. It examined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pyright law as well as the requisites for establishment of "works of authorship" and the types of protection stipulated by the copyright law, which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ossibilities of legal protection for fashion designs under the law. It then analyzed several leading cases in the fashion designs sector for the interpretation of related legal principles. The Copyright Act defines "works of authorship" for protection as the creative works that express human ideas or emotions. Works to be legally protected under the law include artistic works that are equipped with the prerequisites for establishment of "works of authorship", or fashion designs that are equipped with the prerequisites for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applied artistic works whose originality is distinguishable from articles.

키워드

참고문헌

  1. 옥성수 (2005), 저작권의 경제적 기여와 산업구조 분석, 지적재산권, 7, p. 62.
  2. 김혜영, 김민호 (1999), 패션디자인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성균관법학, 11(1), p. 241.
  3. 홍병숙, 석효정 (2009), "패션산업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이해와 적용사례-디자인 카피라이트, 트레이드마크, 모조품 위반 사례를 중심으로-", 패션정보와 기술, 6, pp. 34-42.
  4. 차상육 (2010), 패션디자인 보호를 둘러싼 분쟁양상과 법적 쟁점,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32, pp. 231-289.
  5. 육소영 (2010), 패션디자인의 법적 보호, 지식재산연구, 5(2), pp. 81-109.
  6. 임종욱 (2012), 패션디자인의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KHU 글로벌 기업업무 리뷰, 5(1), pp. 9-31.
  7. 한국저작권위원회 (2012), 2012 개정 저작권법에 따른 저작권 상담사례 100, p. 38.
  8. Jimenez, G. C. & Kolsun, B. (eds.) (2010), Fashion law: A Guide for Designers, Fashion Executives, and Attorneys, New York, NY: Fairchild Book, p. 59.
  9. 서울고등법원 1990. 11. 27. 선고 90나22532 판결
  10. 대법원 1991. 8. 13. 선고 91다1642 판결
  11. 대법원 2001. 5. 8. 선고 98다43366 판결
  12. 한국저작권위원회 (2012), 2012 개정 저작권법에 따른 저작권 상담사례 100, p. 26.
  13.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 7. 23. 선고 2012카합996 결정
  14. 서울지방법원 2006. 2. 9. 선고 2005노3421 판결
  15. 윤경 (2006), 응용미술작품이 저작물로 보호되기 위한 요건, 법조, 55(9), p. 230.
  16. 대법원 1996. 2. 23. 선고 94도3266 판결
  17. 황종환, "디자이너의 권리를 지켜라", 자료검색일 2013. 9. 19, http://magazine.jungle.co.kr/junglespecial/specialissue/special_temp5.asp?idx_caller=1526&idx=1527&idx_special=67&ref=195&page=1&main_idx=67
  18. 서울지방법원 1994. 11. 10. 선고 94노2571 판결
  19. 차상육 (2010), 패션디자인 보호를 둘러싼 분쟁양상과 법적 쟁점,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32, p. 242에서 재인용
  20. 이상정 (1996), 직물디자인의 보호-소위 '대한방직 사건'을 중심으로, 계간 저작권, 34, p. 22.
  21. 대법원 2000. 3. 28 선고 2000도79 판결
  22. 서울지방법원 1999. 12. 21. 선고 99노6919 판결
  23. "'히딩크' 넥타이 저작권으로 보호받는다", 자료검색일 2013. 8. 3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lphapat01&logNo=50136004906&beginTime=0&jumpingVid=&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
  24. 차상육 (2010), 패션디자인 보호를 둘러싼 분쟁양상과 법적 쟁점,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32, p. 244.
  25. 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3도7572 판결
  26. 서울중앙법원 2005. 2. 4. 선고 2004노2851 판결
  27. 차상육 (2010), 패션디자인 보호를 둘러싼 분쟁양상과 법적 쟁점,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32, pp. 246-247.
  28. 서울중앙지방법원 2007. 4. 11. 선고 2005가합102770 판결

피인용 문헌

  1. Legal Issues of Graffiti Art Collaboration in Fashion vol.47, pp.None, 2014, https://doi.org/10.21326/ksdt.2015..47.026
  2. 패션디자인의 표절 분쟁 사례와 대학생들의 패션디자인 표절에 대한 인식 vol.21, pp.10, 2014, https://doi.org/10.5762/kais.2020.21.10.480
  3. 패션산업의 법적 보호와 소송 동향 -한국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vol.44, pp.6, 2014, https://doi.org/10.5850/jksct.2020.44.6.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