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st-year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 Their Secondary School Technology Classrooms and Teachers

중등학교 기술 수업과 기술 교사에 대한 대학 신입생의 인식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who recently experienced technology education in their secondary education for describing contemporary technology classrooms. To accomplish this goal,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on their technology classrooms were employ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27 first-year college students who began their college life in 2013 and consisted of 224 students enrolled in 10 departments of educational major and 203 students who enrolled in 9 departments of other colleges.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consisted of preference toward technology classrooms and teachers, experience in the secondary technology classrooms, perception toward technology teachers, and suggestions for technology classrooms with five point Likert scale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22 volunteers who answered the instrument and consented the interview proces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 and theme analyses were performed and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year students' experiences for technology classrooms were described with the theme of 'learning contents or activities'(54.4%). And the negative perception toward technology classrooms(29.1%) was larger than he positive perception(16.5%). The perception toward technology classrooms was also presented with two themes of teaching methods and subject interest. The perception toward technology teachers presented a medium level preference with several themes of teachers' teaching methods, teachers' personality, and subject interest. Lecture style method(60.48%) was largely used in the participants' technology classrooms and problem solving or collaborative methods was not frequent(19.31%). The participants indicated a need for improving teaching methods in technology education and suggested sufficient administration and curriculum supports and transitions of the learning contents. Further studies investigating the diverse public's perception toward technology and technology classrooms could be recommended.

이 연구는 중 고등학교 기술교육 현장의 모습을 그리기 위해 최근 중 고등학교에서 기술교육을 직접 받았던 대학생들의 기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술수업에 대한 설문지와 심층 면담을 사용하였다. 기술수업에 대한 설문지 참가자는 2013년 입학한 신입생을 대상으로 사범대학생 10개 학과의 224명과 비 사범대학 9개 학과의 203명을 포함한 427명으로 2013년 3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중 고등학교에서의 기술수업과 교사에 대한 선호도, 기술수업에서의 학습경험, 기술교사에 대한 생각, 그리고 기술교육의 개선방향으로 구성되었고 5점 Likert 척도와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마친 후 개인 면담 연구 참가 중 희망자 22명 전원을 개별 면담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기술통계와 주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결과 최근 기술교육을 받은 대학 신입생들의 기술수업에 대한 경험은 수업 내용 또는 실습 내용으로 표현되고(54.4%), 부정적인 인식(29.1%)이 긍정적인 인식(16.5%)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은 주로 수업 내용 외 수업방법과 그들의 흥미의 주제로 표현되었다. 기술교사에 관한 인식은 보통 수준의 선호도를 보였고 교사의 수업 방법, 교사의 태도 또는 성격, 과목에 대한 흥미의 주제로 표현되었다. 이 연구의 참가자들이 가장 많이 경험한 기술수업에서의 수업방법은 강의식 수업(60.48%)이고 문제해결 또는 협동학습은 19.31%였다. 기술교육의 인식 향상과 발전을 위해서 가장 먼저 기술수업방법의 변화를 지적하였고, 학습 환경과 교육과정의 개선, 학습내용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술과 기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대중의 인식에 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훈 외(2002).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2. 김혜정, 노태천(2007). 중학교 기술 영역 실습수업에 대한 남녀 고등학생의 인식 및 흥미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93-111.
  3. 문대영(2007). 기술교육의 미래 전망 : 네 가지 시나리오.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1), 119-132.
  4. 성태제, 시기자(2007).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5. 성의석, 권혁수(2014). 기술교육의 쟁점과 실천 전략: 우리나라 기술교육 현장 전문가의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1), 189-208.
  6. 신경구, 이용순(2005). 기술 교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발전 과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5(1), 110-124.
  7. 이은미(1997). 중학교 실업 교육과정의 통합에 관한 분석 연구 : 기술, 산업교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이춘식(2003). 기술교과와 가정교과 통합의 난제. 교원교육, 19(1), 211-247.
  9. 이춘식(2008).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태도. 실과교육연구, 14(3), 71-90.
  10. 이춘식(2009). 한국 사람들의 기술에 대한 생각. 실과교육연구, 15(4), 219-236.
  11. 장재성(2000). 제7차 기술 교과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2. 장재성, 이상갑, 이상봉(2000). 기술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변천 추이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 147-161.
  13. 최유현(1995). 기술교과 교육에 있어서 기술적 교양 목표 성취를 위한 문제 해결 수업 전략 의 효과.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0(1), 43-54.
  14. 최유현(2000). 한국 기술과 교육과정 변천 과정과 미래전망. 과학교육논총, 12(1), 133-163.
  15. 최유현(2001). 국내.외 기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빛 동향 분석을 통한 발전 과제의 제기.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 195-206.
  16. 최유현 외(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기술교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교사의 역량 개발 요구도.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1), 1-24.
  17. 최유현(2013). 기술교과 교육의 탐구, 서울: 형설출판사.
  18. 황선희, 최준섭, 정성봉(2005). 충청북도 여학생의 기술에 대한 태도. 한국기술교육학회지, 5(2), 147-162.
  19. Becker, K. H., & Manunsiyat, S.(2002). Thai students' attitudes and concept of technology.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3(2), 6-20.
  20.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2000).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Reston, VA: Author.
  21. Kwon, H., Sanders, M., & Sherman, T. (2011).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 Transition across 40 year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1(1), 228-245.
  22. Mativo, Womble, & Jones(2013). Engineering and technology students' perceptions of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23, 103-115. https://doi.org/10.1007/s10798-011-9167-3
  23. Volk, K. S., Yip, W. M., & Lo, T. K. (2003). Hong Kong pupils' attitudes toward technology: The impact of design and technology programs.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5(1), 48-63.
  24. Yi, S. & Kwon, H. (2008). Bringing Korean Educators' Experience to the Global Village: Innovations and Challenges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19th pupil's Attitude Toward Technology Conference, 225-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