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군사학과 훈육 모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isciplinary Model in Div. Military Science

  • 투고 : 2014.08.25
  • 심사 : 2014.10.28
  • 발행 : 2014.10.30

초록

본 연구는 우수 장교양성을 목적으로 시행중인 군사학과 학생들의 자질과 품성 함양을 위한 훈육교수의 역할과 훈육을 담당하는 교수의 핵심역량을 어떻게 어떤 항목으로 할 것인가와 이를 개발하기 위한 역량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군사학과 교육운영체계의 전반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존 훈육의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기초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에 제시된 내용은 사관학교 위주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훈육요원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인 교수 평가 생활 지도 학급경영 역량을 일반적 운영절차에 따라 계획 준비 실시 성과분석단계로 구분하여 어떻게 진행하고 조치할 것인가에 대한 모델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여기서 제시한 연구결과는 일반대학 군사학과의 훈육담당 교수의 역할과 역량을 효율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훈육에 관련된 모델은 사관학교에서 부분적으로 연구되었으나 본 연구는 민간대학 군사학과 학생들의 훈육을 담당하는 교수들의 역량을 효율적으로 극대화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한 모델은 최근 군 교육기관에서 연구된 일부 내용들과 일반적인 훈육관련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만들어진 모델이기 때문이 이것을 모든 대학이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약간의 제한 사항들이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민간대학 군사학과 훈육담당 교수들이 이 모델을 기초로 하여 실증적인 검증과 보완이 필요하고 지속적인 분석과 보완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sciplinary professors' core competencies in Div. Military Science student. To best accomplish the study, I select core competencies in the precedent study about Disciplinary Professors' Core Competencies studies. The 5 factors of core competencies are as follow ; teaching core competency, evaluation core competency, guidance core competency, class management core competency, speciality development core competency. Through this study I developed disciplinary process model. This model is conducted to fi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disciplinary professors' core competencies and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aspiration for military occupation. But this study has some restriction, so we should study actual proof the more.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방부, 2010 국방백서, 2010, p.134.
  2. 국방부, 2012 국방백서, 2012, p.150.
  3. 교육학사전편찬위원회, 교육학사전, 1965
  4. 육군학생군사학교, 훈육지침서, 2013, pp.1-3.
  5. 한글학회, 우리말 큰 사전, 1992.
  6. Wikipedia Dictionary : Discipline is any training intended to produce a specific character or pattern of behaviour.
  7. 육군학생군사학교, 훈육지침서, 2013, pp.1-5.
  8. Emmer, E & Aussiker, A.(1987), School classroom discipline program; How well do they work?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 Rearch Association, Washington, DC.
  9. 김재철.황매향,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바람직한 교사역량 구성요인의 가중치 탐색. 교육평가연구, 2008, 21(2), pp.230-249.
  10. 김일문, 바람직한 교사상(敎師像). 아동교육, 2001, 10(2), pp.1-10.
  11. 심현옥외, 훈육관 역량모델 개발, 군진간호연구 제29권 제2호, 2011, p.58.
  12. 정병삼외, 육군3사관학교 생도들이 인식하는 훈육관의 핵심역량, 충성대연구소논문집 제78집, 2013, pp.12-14.
  13. 서동미.전유경.엄은나, 교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본 좋은 교사의 의미탐색, 2008,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2권 제3호, pp.261-303.
  14. 배정훈, 리더십 에센스, 형설출판사, 2010, p.101.
  15. 김재철.황매향,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바람직한 교사역량 구성요인의 가중치 탐색. 교육평가연구, 2008, 21(2), pp.230-249.
  16. 배정훈, 리더십 에센스, 형설출판사, 2010, p.28.
  17. 심현옥 등, "훈육관 역량모델 개발", 군진간호연구, 2011, 29(2): p.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