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닉 인클레이브의 형성 메커니즘: 브라질 봉헤찌로 한인 의류산업지구를 사례로

The Formation Mechanism of Ethnic Enclaves: A Case Study of Bom Retiro Korean Garment Industrial District in Brazil

  • Moon, Sora (Yeongju Girl’s Middle School) ;
  • Jang, YoungJi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4.09.28
  • 심사 : 2014.10.22
  • 발행 : 2014.12.31

초록

기존의 에스닉 인클레이브 연구는 지리학자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황에서 에스닉 네트워크를 강조함에 따라 지리적 맥락과 산업 생산체계의 공간적 함의에 대한 설명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에 대한 이해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브라질 봉헤찌로 한인 의류산업지구를 사례로 봉헤찌로의 발전 경로와 의류산업의 생산체계 그리고 에스닉 네트워크를 함께 고찰함으로써 한인 인클레이브의 형성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지역의 형성에는 에스닉 네트워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이주자 의류 산업지역이라는 지역의 발전 경로와 의류산업의 생산체계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공간적 수렴현상에도 그 원인이 있으며, 이 과정에는 비동족 이주자 집단 및 브라질 현지인들의 참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Previous studies of ethnic enclaves did not provide an adequate explanation of the geographical contexts and spatial implications of industrial production systems, as a result of emphasizing ethnic networks with stagnant participation from geograph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examine the formation mechanism of Korean ethnic enclaves through the case of Bom Retiro's Korean garment industrial district in Brazil, specifically by performing an integrated review of the development path of Bom Retiro, the garment industry's production systems, and ethnic network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the formation of this region's ethnic enclave was indeed highly influenced by ethnic networks; however, it was also affected by the development path of the region as a migrant garment industrial district and spatial convergence pertaining to the production systems of garment industries. Moreover, the formation of Bom Retiro's ethnic enclave also involved active participation of non-ethnic immigrant communities and local Brazilia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