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ized Industries and Industrial Connectivity of Cities in Yeongnam area: Analysis on the Basis of Network City Theory

영남권 도시들의 특화산업과 산업연계: 네트워크도시이론에 바탕을 둔 분석

  • Received : 2014.10.21
  • Accepted : 2014.11.10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capitalist economic process of glocalization an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led us to the significance of network city as well as concepts of global city, megacity region, etc. Network city theory pursues development of both individual cities and of the region of those cities through strengthening of mutual connectivity among them with specialized industries. On the basis of network city theory, this paper is to analyze specialized industries of cities and connectivity among them in the Youngnam region in S. Korea. It uses the methods of locational quotient, locational Gini coefficient, and shift-share method to analyze specialized industries of citie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global and local Moran's I to examine connectivity among cities. As results, it can be identified that each city in the Youngnam region has its own specialized industries different from each others, but it seems not easy to grasp the overall extent of connectivity among them, partly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applied analysis methods and partly because of a lack of connectivity among cities themselves.

최근 경제의 지구 지방화 과정과 교통 통신기술의 발달로 '세계도시'(지역)와 더불어 '네트워크도시'가 관심을 끌고 있다. 네트워크도시 이론은 인접한 도시들의 특화된 산업들 간 상호 연계성의 강화를 통해 개별 도시와 지역 전체의 발전을 추구한다. 이 논문은 네트워크도시 이론에 바탕을 두고 영남권 도시들의 특화산업과 산업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도시 특화산업의 분석을 위하여 입지계수, 입지지니계수, 변이할당분석을 수행했으며, 도시 간 연계성 분석을 위하여 대응분석과 글로벌 및 로컬 모란지수분석을 수행했다. 특화산업 분석의 결과, 영남권의 개별 도시들은 도시별로 상이한 산업들로 상당히 특화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도시들 간 연계성 분석에서는 일부 도시들 간 산업별 연계성이 확인되었지만, 전체적으로는 분석기법의 한계와 더불어 도시들 자체의 연계성 부족으로 인해 그 특성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분석의 시사점으로, 각 도시의 특화 산업들의 육성과 더불어 도시 간 산업 연계성의 강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