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 Analysis of the Greenbelt Environment in the Region of Yellow Dust Origin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황사발생 원인지역의 녹지 환경 변화 분석

  • Received : 2014.05.31
  • Accepted : 2014.10.17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interest group and corporation in Korea have cultivated Suaeda grass in the source area every year as a plan to prevent the yellow dust due to Chinese desertification. It needs the afforestation analysis about the research area to plan the greenbelt environment development in the region of yellow dust origin. Thus, this research analyzed the greenbelt environment based on Landsat 5 TM satellite image and Landsat 8 image to grasp and analyze the present of greenbelt environment development. And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side of the salt desert to understand the detailed greenbelt environment and vegetation index. As a result, it represents that the afforestation was accomplished efficiently between 2009 and 2011, while the greenbelt area was decreased rapidly and bare soil was increased between 2011 and 2013. Through these results, we could recognize that it is in trouble about the greenbelt environment development after 2011 and it needs the project implementation using satellite image when the next afforestation project is planned henceforth.

중국의 사막화로 인해 발생된 황사 방지대책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의 전문시민단체와 기업에서는 2008년부터 매년 황사발생 원인지역에 나문재를 파종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황사발생 원인지역의 녹지 환경 조성 계획을 위해서는 대상지의 녹지화 현황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지 환경의 조성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해 Landsat 5 TM 위성영상과 Landsat 8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영상분류를 통한 녹지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소금사막 내부의 상세한 녹지 환경 및 식생지수를 파악하기 위해 NDVI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009년에서 2011년 사이에는 소금사막과 나대지가 대폭 감소하고 녹지가 증가하는 녹지화가 효율적으로 진행된 반면, 2011년에서 2013년 사이에는 녹지 면적이 급격히 감소하고 나대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2011년 이후 녹지 환경 조성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녹지화 사업 시 위성영상을 이용한 사업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enedetti, R., P. Rossini and R. Taddei. 1994. Vegetation classification in the Middle Mediterranean area by satellite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5(3):583-596. https://doi.org/10.1080/01431169408954098
  2. Jeong, J.S. 2009. Temporal-spatial change and the major factor of desertification in the Kubuqi desert and its adjacent regions, Inner Mongolia, China.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9pp (정진숙. 2009. 중국 네이멍구 쿠부치(庫布齊) 사막과 주변지역 사막화의 시공간적 변화와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9쪽).
  3. Lee, G.L., Y.S. Kim, K.S. Han, C.S. Lee and J.M. Yeom. 2008. Vegetation water status monitoring around China and Mongolia desert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 94-110 (이가람, 김영섭, 한경수, 이창석, 염종민. 2008. 위성자료를 이용한 중국과 몽골 사막주변의 식생수분상태 모니터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94-110).
  4. Lee, H.R. and H.M. Kim. 2005.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in Kunsan city using Landsat 7 TM/ETM+ satellit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2):31-43 (이홍로, 김형무. 2005. Landsat 7 TM/ETM+ 위성영상을 이용한 군산지역 지표 온도와 NDVI에 대한 상관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31-43).
  5. Moonon, E. 2010. Detection of land cover changes using image data in desert area. Master Thesis,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Korea. 55pp (뭐넝 에리덴치멕. 2010. Landsat 영상자료를 이용한 사막지역의 토지피복 변화 분석. 인천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쪽).
  6. Prince, S.D. and W.L. Astle. 1986. Satellite remote sensing of rangelands in Botswan I Landsat MSS and herbaceous vege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7(11): 1533-1553. https://doi.org/10.1080/01431168608948952
  7. Shin, S.C. and T.Y. An. 2004. Estimation of areal evapotranspiration using NDVI and temperature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3):79-89 (신사철, 안태용. 2004. NDVI와 기온자료를 이용한 광역증발산량의 추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3):79-89).
  8. Yoon, S.O., C.S. Park and S.I. Hwang. 2010. Grain size characteristics of the Asian dust in Seoul and relationship to loess sediments in the west coast of Korea during the spring.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7(3):77-88 (윤순옥, 박충선, 황상일. 2010. 봄철 서울 지역에 발생한 황사의 입도 특성과 뢰스와의 관련성. 한국지형학회지 17(3):77-88).
  9. Yun, H.C. and J.S. Lee. 2014.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about yellow dust source area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 in China.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014, Seoul, April 24-25. pp.221-222 (윤희천, 이종신. 2014.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한 중국 황사발원지의 녹지화 현황 분석. 한국측량학회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221-22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