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Perspectives of Design Education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 서용모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
  • 이예중 (충남대학교 디자인창의학과) ;
  • 안유정 (충남대학교 디자인창의학과) ;
  • 오치규 (충남대학교 디자인창의학과)
  • 투고 : 2014.10.24
  • 심사 : 2014.11.10
  • 발행 : 2014.12.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대전지역의 유아교육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조사한 것이다. 조사결과의 주요 내용은 창의성의 개념 인식과 이를 통해 유아교육전문가들이 생각하고 있는 유아들에게 필요한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현재의 디자인 교육은 아직까지 유아를 위한 디자인 교육이 체계적이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체계적인 디자인 교육을 유아들의 창의성 계발에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양한 주제와의 연계성을 갖는 콘텐츠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유아교육에 필요한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가의 부재로 기존의 미술활동 영역과의 차별성을 인지하고 있지 못하며 관련 전문 교재의 개발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전문가들도 유아교육을 위한 디자인 교육 콘텐츠 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유아교육 전문가들이 유아의 창의성을 계발하는데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을 요구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We studied preschool education professionals for perspective of design education in young child. So the study contents of our paper are design education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Preschool education professionals recognized that design education work unsystematic manner in present education program. They recognized the important factor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d. They need a relevant and contents for design education issues. Our studies show that they realized an absence of the perception of design education and design education professionals for young child. They could not distinguish between the conventional art activities and design activities. So they required a design teaching aids. We realized that they are respond to the design education in young child positively. Our study states that preschool education professionals need a contents of design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a relevant programs for young chil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은경, 아동의 창의력 계발을 위한 기초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2. Schumpeter, Joseph A.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3rd ed. 1942. New York: Harper and Brothers, 1950.
  3. 김주호, 창의성과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4. D. M. Harrigton, J. Block, and J. H. Block, "Predicting creativity in preadolescence from divergent thinking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3, pp.603-623, 1983.
  5. 전경원,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2000.
  6. D. W. Tegano, J. D. Morran, and L. J. Godwin, "Cross-validation of two creativity tests designed for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1, pp.387-396, 1986. https://doi.org/10.1016/0885-2006(86)90015-3
  7. 황희숙, 강승희, 윤소정, "유아 영재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K-WPPSI 수행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4호, pp.81-104, 2003.
  8. E. P. Torrance,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Hall, 1963.
  9. 양옥승, 지성애, 김영옥, 홍헤경, "유아의 사회, 표현, 탐구적 놀이를 통한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교육학회지, 제40권, 제4호, pp.89-112, 2002.
  10. 문미옥, 김영옥, 나정, 양옥승, 이기숙, 임재택, "교육성 고시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총론 시안 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pp.37-72, 2007.
  11. 윤정진, 김길권, "기본 동형을 응용한 유아 미술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연구", 아동학회지, 제26권, 제5호, pp.391-409, 2005.
  12. 최인수, "유아의 창의적 특성과 교육적 시사", 미래유아교육학회, 제8권, 제2호, pp.103-129, 2001.
  13. L. S. Vygotsky, "Play and its role in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child," Soviet Psychology, Vol.5, No.3, pp.6-18, 1967.
  14. M. Mayseky, N. Donald, and R. J. Wlodkowski,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NY: Delmer Publishers, Divson of Litton Education Publishing, Inc., 1995.
  15. 이교진, 미적 체험활동의 구체화 지도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6. 신희상, "국내.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비교분석", 조형교육지, 제9권, pp.59-77, 2002.
  17. 안성희, 초등학교 미술교과 디자인 영역의 교육 실태 및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8. 최재영, 최영숙, 민미경, 이정희,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유아디자인 교육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19권, 제1호, pp.155-176, 2005.
  19. 이정환, 유아교육의 통합적 미술교육과정, 서울: 창지사, 1995.
  20. A. J. Cropley, 창의성 계발과 교육, 서울: 학지사, 1999
  21. 윤소영, 초등과정에서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육의 개선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2. 김현희, 초등 미술 교육에서의 현대적 교육 방안 모색,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3. 안성희, 초등학교 미술교과 디자인 영역의 교육실테 및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4. 오치규, "디자인 매니지먼트 교육에서의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267-274,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67
  25. 안종혁, "창의교육에 있어서 예술 활동을 통한 창의실습도서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106-115, 2012.
  26. T. M. Ambile, Growing up Creativity :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New York : Crown Publishers, 1988.
  27. M. Csikszentmihayi, Society, Culture, and Person : A system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325-339, 1988.
  28. R. J. Sternberg and T. I. Lubart, Creating creative mind, Phi Delta Kappn, pp.608-614, 1994.
  29. 박미선, 아동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디자인 조기교육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0. 빅터 파파넥 저, 한도룡, 이해묵 역, 인간과 디자인, 서울: 미진사,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