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Camping Participation on 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among the Juvenile

청소년의 캠핑참가가 회복탄력성 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08.27
  • Accepted : 2014.10.20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of juveniles depending on having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camp, and furthermore, to analyze how the camping participation degree of juveniles affect 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To do so, this study selected teenagers as a population among camping ground users located in Chungcheong and Kyunggi region in 2014, sampled out total 300 participants of 150 camping participants and 150 non-participants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n selected final 295 subjects for the final analysis. Validity and credibility of questionnaire were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th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SPSSWIN 18.00 program.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amp participant group of juveniles showed higher resilience than the non-participant group.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among camping participation degree of juveniles, the resilience of positivity decreased when the length of stay was longer. Thirdly, the camp participant group of juveniles showed lower academic stress than the non-participant group, but did not wh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ourthly, the school record stress and assignment stress decreased when the participation degree, the length of stay, among camping participation degree of juveniles was longer. Fifth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better the resilience strengthened by participating in the camp, the academic stress decreased.

이 연구는 청소년의 캠핑참가경험에 따른 회복탄련성 및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나아가 청소년의 캠핑참가정도가 회복탄력성 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14년 현재 충청권과 경기권 권역에 소재한 캠핑장 이용객 중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캠핑참가자 150명, 비참가자 150명 총 300명을 표집하였으며, 295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WIN 18.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 검정, 다중회귀분석 등이 활용되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캠핑참가 집단이 비참가집단보다 회복탄력성은 높다. 둘째, 청소년의 캠핑참가정도 중 참가강도인 체류일이 길어지면 긍정성의 회복탄력성은 오히려 감소된다. 셋째, 청소년의 캠핑참가 집단이 비참가집단보다 학업스트레스는 낮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 넷째, 청소년의 캠핑참가정도 중 참가강도인 체류일이 길어지면 성적스트레스와 수업 및 과제스트레스는 감소된다. 다섯째, 캠핑참가에 의해 강화된 회복탄력성이 좋을수록 학업스트레스는 감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남욱, 회복탄력성, 스트레스요인,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상관성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 강명희, 이수연,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제20권, 제6호, pp.265-293, 2013.
  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통계 분석 자료집, 2011.
  4. 김종호, 정정욱, "한국 청소년들의 체육수업과 신체활동 수준이 정신건강 및 학업성적과의 관련성",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1권, 제6호, pp.553-570, 2012.
  5. 김주환, 회복탄력성, 고양: 위즈덤하우스, 2011.
  6. 김판수, 한기훈,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가 정서와 성격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과학논문집, 제23권, pp.39-58, 2011.
  7. 민하영, 유안진, "학령기 일상적 생활스트레스 개발", 한국아동학회지, 제19권, 제2호, pp.77-96, 1998.
  8. 박경희,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기대수준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9. 박성희, 아동의 학교학업 스트레스 및 과외학업스트레스와 무력감간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0. 박현균, 운동 참여와 자긍심이 스트레스 대처 방안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1. 서영기, 스포츠 활동 참여가 중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양종훈, "중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9권, 제4호, 2010.
  13. 오미향,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요인 및 증상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14. 이건우, 원미애,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과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18권, 제1권, 2013.
  15. 이숙영,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학교적응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1호, 2012.
  16. 이신숙,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7. 이쌍이,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18. 이연희,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9. 이윤영, 박재우, "아동.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간 신체활동 매개효과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2012.
  20. 이인혜, 청소년이 인지한 가족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8.
  21. 이인화, "신체활동 참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17권, 제4호, pp.101-111, 2012.
  22. 이정아, 마음챙김에 기초한 유아 인지명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3. 이주송,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 활동참여에 따른 회복탄력성 및 잠재비행의 차이,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4. 이후승,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5. 주현식,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스트레스해소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13권, 제1호, pp.81-97, 2001.
  26. 통계청, 청소년통계, 여성가족부, 2012.
  27. 박효정, 한국 중등학생 생활 및 문화실태 분석연구1, 한국교육개발원, 2003.
  28. 현주,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29. 한정규, 허원석,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용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pp.63-75, 2013.
  30.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e in the oranization of behavior," InW.A. Collines(Ed.), Mine 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13, pp.39-101, 1980.
  31. K. M. Connor, "Assessment of resilience in the aftermath of trauma. Journal Clinical Psychiatry," Vol.67, No.2, pp.46-49, 2006.
  32. D. C. Funder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ego resiliency, and IQ in delay of gratification in adolesc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pp.1041-1050,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41
  33. B. M. Gillespie, W. Chaboyer, M. Wallis, and P. Grimbeek,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Developing and 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59, No.4, pp.427-438, 2007.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340.x
  34. W. Mischel, Y. Shoda, and P. K. Peake, "The nature of adolescent competencies predicted by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4, pp.687-696, 1988. https://doi.org/10.1037/0022-3514.54.4.687
  35. B. Neighbors, R. Forehand, and D. Mcvicar, "Resilient adolescents and interparental conflict,"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63, pp.462-471, 1933.
  36. K. Reivich and A. Shatte, The resilience factor, NY: Broadway Books, 2003.
  37. M. M. Tugade, B. L. Fredrickson, and B. L. Feldman,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ositive emotional granularity: Examining the benefits of positive emotions on coping and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Vol.72, No.6, 2004.
  38. K. Tusaie and J. Dyer,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18, pp.3-10, 2004. https://doi.org/10.1097/00004650-200401000-00002
  39. 소영호, "생활체육참가자의 공감능력이 회복탄력성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53권, 제1호, pp.167-180, 2014.
  40. 심태영, 박기용,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스포츠클럽활동이 스포츠우정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53권, 제3호, pp.167-180, 2014.
  41. S. E. Iso-Ahoa,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W. C. Brown Company Publishers, 1980.
  42. 김수안, 프로야구 선수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2-27, 2014
  43. M. A. Brennan, "Conceptualizing resiliencey: An interactional perspective for community and youth development," Child Care in Practice, Vol.14, pp.55-64, 2008. https://doi.org/10.1080/13575270701733732
  44. L. B. Dunn, A. Iglewicz, and C. Moutier, "A conceptual model of medical student well-being: Promoting resilience and preventing burnout," Academic Psychiatry, No.32, pp.44-5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