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의사코칭 프로그램의 만족도 평가

Evaluation for Satisfaction of Doctor Coaching Program

  • 나현숙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권영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과/의료경영연구소) ;
  • 노진원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투고 : 2014.09.01
  • 심사 : 2014.10.02
  • 발행 : 2014.12.28

초록

의료커뮤니케이션은 의사와 환자의 소통을 통해 환자의 진료만족도와 의료기관 재방문 비율을 높이고, 의료소송 비율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의료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는 의사코칭이다. 의사코칭은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증진하여 환자와의 소통에 도움이 되도록 도와주는 일련의 코칭과정이다. 본 연구는 의사코칭의 '코치-코티관계', '코치 자체', '코칭활동'이 코칭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칭 프로그램과 관련된 '코칭활동'이 코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다. 반면 '코치-코티관계'와 '코치 자체'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그 중 '코치-코티 관계'는 부(-)의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의료커뮤니케이션의 개선과 의사코칭의 필요성에 대한 의사들의 공감을 획득하고, 코치의 자질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이 의사코칭 모델에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코치는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지식은 물론 코칭 기법에 대한 이해와 지식 획득에 노력해야 한다.

Medical communica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atient's medical treatment satisfaction and medical facility revisit rate through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and decreasing the medical law suit rate. One of the methods to enhance medical communication is through doctor coaching. Doctor coaching is a series of coaching procedure that helps the docto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with the patients by enhanci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doctors.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effect 'coach and coatee's relationship', 'coaching per se', and 'coaching activity' have on coaching satisfaction. As the result, 'coaching activity' related to the coaching program showed the most influence on the coaching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coach and coatee's relationship' and 'coaching per s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fluence while 'coach and coatees relationship' eve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Such result gained agreement amongst the doctors about the medical communication enhancement and necessity of doctor coaching and it also implies that intensifying the coaching qualifications and professionalism is necessary for the doctor coaching model. The coach should not only have knowledge regarding the doctor(medical??) communication, but also should endeavor to obtain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coaching strategies.

키워드

참고문헌

  1. M. Weinberger, J. Y. Greene, and J. J. Mamlin, The impact of clinical encounter events on patient and physician satisfaction, 1981.
  2. P. Maguire, S. Fairbairn, and C. Fletcher, "Consultation skills of young doctors: I-Benefits of feedback training in interviewing as student's persist", Br Med J (Chin Res Ed) Vol.292, pp.1573-1576, 1986. https://doi.org/10.1136/bmj.292.6535.1573
  3. J. J. Han, M. J. Lee, and H. J. Im, Comprehension of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through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domains in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2010.
  4. H. R. Winefield, Chur-Hansen. "Evaluating the outcome of communication skill teaching for entry-level medical students: does knowledge of empathy increase?," Medical Education, Vol.34, No.2, pp.90-94, 2000. https://doi.org/10.1046/j.1365-2923.2000.00463.x
  5. 나현숙, 권영대, 노진원,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의사코칭 모델 개발", 한국문화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331-34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331
  6. 박은선, 이재섭, "방한일본인 관광객의 의료관광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6권, 제4호, pp.487-502, 2011.
  7. 양종현, 송태균, 장동민, "의료서비스품질이 암환자의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69-28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269
  8. 강춘한, 이경구, 강한균, "의료서비스품질 핵심요인이 고객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6권, 제9호, pp.2227-2251, 2013.
  9. T. Gallwey, The inner game of work, Texene: Random House, 2000.
  10. L. Tice, Personal Coaching for Results, Thomas Nelson Publishers, Nashvill, TN. 1997.
  11. G. R. Collins, 크리스천 코칭, IVP, 2004.
  12. 임정섭, 최영임, 김교헌, "코칭효과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545-545, 2012.
  13. K. Wesson and I. Boniwell, "Flow theory: its applications to coaching,"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Vol.2, No.1, pp.33-43, 2007.
  14. D. Burke and P. A. Linley, "Enhancing goal self-concordance through coaching,"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Vol.2, No.1, pp.62-69, 2007.
  15. 권상우, 신상우, 임병묵, "한의학교육에 대한 전공 대학생들의 교육만족도 조사", 대한한의학회지, 제33권, 제1호, pp.1-11, 2012.
  16. 박명호, 이희경, 김상연, 권순일, 전성일, "보건계열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의 교육만족도 조사: D대학을 중심으로," 대한치과기공학회지, 제33권, 제4호, pp.361-368, 2011.
  17. 박일환,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의 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구성", 의료커뮤니케이션, 제4권, 제1호, pp.23-33, 2009.
  18. A. C. Mellor and P. Milgrom, "Dentists' attitudes toward frustrating patient visits: relationship to satisfaction and malpractice complaint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23, No.1, pp.15-19, 1995.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5.tb00191.x
  19. S. Kurtz, J. Siverman, and J. Draper,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in medicine, 2nd ed. Oxon Radcliffe,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