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대학생의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

Sense of Coherence and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 이미현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
  • 박미숙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 투고 : 2014.10.13
  • 심사 : 2014.12.10
  • 발행 : 2014.12.28

초록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정도 및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2014년 6월, C지역 일부 간호대학의 2학년이상의 간호대학생 24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한 후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통합성은 127.21점, 학업스트레스는 48.90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별, 학년, 전공만족도, 교우관계, 가족관계, 대학생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 간에는 부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해가능성, 전공만족도, 교우관계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1.3%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간호교수법의 개선과 통합성 강화 프로그램 및 상담지도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으로 학업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나가야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sense of coherence and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48 nursing students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18.0.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nse of coherence and academic stress. Major satisfaction, friends relationship and comprehensibility as a subcategory of sense of coherence accounted for 31.3% of the variance in academic stres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e should search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to heighten the major satisfaction, enforcement of sense of coherence, and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academic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york, Norton, 1968.
  2. 권순일, "대학생의 스트레스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S대 경영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경제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pp.1-29, 2009.
  3. D. L. Coffman and T. D. Gilligan, "Social support, stress and self-efficacy: Effects on student's satisfaction," J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Vol.4, No.1, pp.53-66, 2002. https://doi.org/10.2190/BV7X-F87X-2MXL-2B3L
  4. 유계숙, 신동우, "대학생의 학업.취업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849-3869, 2013.
  5. 장형석,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원천과 대처전략", 부산대학교 학교생활연구소, 제32권, pp.101-105, 2000.
  6. 박병기, 박선미, "학업스트레스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2호, pp.563-585, 2012.
  7. 정명실,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실습수행도 및 실습만족도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8권, 제1호, pp.60-68, 2009.
  8. 박현숙, 배영주, 정선영,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응방법 및 학업․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1권, 제4호, pp.621-631, 2002.
  9. F. Timmins and M. Kaliszer, "Aspects of nurse education programmes that frequently cause stress to nursing students: Fact-finding sample survey," Nurses Education Today, Vol.22, pp.203-211, 2002. https://doi.org/10.1054/nedt.2001.0698
  10. A. Antonovsky, Unraveling the mystery of health: how people manage stress and stay well, Jossey-Bass, San Francisco, 1987.
  11. 공은숙, "건강요인지향적 모델과 간호학", 간호학탐구, 제4권, 제1호, pp.110-128, 1995.
  12. B. Lindstrom and M. Eriksson, "Contextualizing salutogenesis and Antonovsky in public health development,"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21, No.3, pp.238-244, 2006. https://doi.org/10.1093/heapro/dal016
  13. 이은주, 전원희, "간호학생의 통합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63-171,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163
  14. F. X. He, V. Lopez, and M. C. Leigh, "Perceived acculturative stress and sense of coherence in Chinese nursing students in Australia," Nurse Education Today, Vol.32, No.4, pp.345-350, 2012. https://doi.org/10.1016/j.nedt.2011.05.004
  15. M. Binkowska-Bury and P. Januszewicz, "Sense of coherence and health-related behaviour among university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Central European J of Public Health, Vol.18, No.3, pp.145-150, 2010.
  16. 김경숙, 최스미, "간호사의 통합성이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4호, pp.493-507, 201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93
  17. 박재순, 서임선, 오정아, 최의순, "병원근무 간호사의 통합성과 대처자원",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7권, 제3호, pp.348-358, 2001.
  18. 서임선, 당뇨병환자의 통합성과 순응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9. 최효진, 이은주,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61-268, 2012.
  20. 양윤경, 한금선, 배문혜, 양승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연구, 제22권, 제1호, pp.23-33, 2014.
  21. S. E. Thyer and P. Bazeley, "Stressors to student nurses beginning tertiary education: An Australian study," Nurses Education Today, Vol.13, pp.336-342, 1993. https://doi.org/10.1016/0260-6917(93)90073-B
  22. 오미향, 천성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요인 및 증상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제15권, pp.63-96, 1994.
  23. 이은희,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제9권, 제1호, pp.25-52, 2004.
  24. 박현주, 장인순,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방법과 임상실습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4-23,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14
  25. 배수현, 박정숙,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와 중요도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03-214,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203
  26. 최지혜, 박미정,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339-34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339
  27. 오주, "가족관계가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의 중재효과", 복지행정논총, 제20권, 제1호, pp.127-149, 2010.
  28.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eratenes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49-361,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29. 한금선, 박영주, 김근면, 오연재, 진종희, 강현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형, 자기효능감, 감정조절, 대처방법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28-34, 2008.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Nursing students' Learned helplessness and Helplessness behavior vol.29, pp.2, 2015, https://doi.org/10.5932/JKPHN.2015.29.2.244
  2.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Depression vol.22, pp.1,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