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aeshil of Great King Jungjo of Joseon

조선 정조대왕 태실 연구(朝鮮 正祖大王 胎室 硏究) - 태실석물(胎室石物)의 구조(構造)와 봉안유물(奉安遺物)의 특징(特徵) -

  • Yun, Seok In (Gangwon Research Institute of Archaeological and Cultural Properties)
  • 윤석인 ((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
  • Received : 2012.09.03
  • Accepted : 2013.02.28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Taeshil of King Jungjo, the 22nd King of the Joseon dynasty located in Yongwol, Gangwondo. The Jangtae culture - burial of the navel cord - is a unique Royal ritual which began during the Shilla dynasty and continued to be carried out for a long period until the Koryo and Joseon dynasties. Until today, about 300 Taebong sites have been discovered, most of which are the Taebong of the decedents of the royal family of the Joseon Kingdom. Most Taeshils built for Kings of the Joseon dynasty were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mong which only a few have been recovered and managed across the nation. The Taeshil of King Jungjo is one of the leading examples among existing Taeshils in Korea which has managed to preserve well enshrined relics as well as literature documents including stone relics in perfect sets. Thus, in order to examine the Taeshil of King Jungjo comprehensively, first of all literary material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King Jungjo's Taeshil such as the Josunwangjosilrok -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Jungjongdaewang Taesilgabong Euigwe (正宗大王胎室加封儀軌) - Royal activities related to Taeshil, and local historic documents etc were searched and put together, while a focus was placed on examin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state of the Taebong, including the specific style of each part of the Taeshil stone and characteristics of enshrined relics. Such materials are believed to have important utility in the future as a basic material to be used for research, maintenance, and restoration of Taeshil relics. So far, Taeshil relics is a field that has not been able to attract much attention from the academic world, however attention has begun to be paid to Taeshil relics due to recent archaeological excavations as well as an approach to artistic history. Academic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if Taeshil relics are able to be examined comprehensively in future covering various area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rchaeology, and artistic history etc.

본 글에서는 강원도 영월에 소재한 조선시대 22대왕인 정조대왕(正祖大王) 태실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장태문화(藏胎文化)는 신라시대에 시작되어 고려시대 왕실, 조선시대 왕실까지 오랜 기간 행해진 우리나라 고유의 왕실의식이라 할 수 있다. 전국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태봉의 수만 해도 약 300여 곳으로 대부분 조선시대 왕실자손들의 태봉이다. 조선시대 역대 왕들의 태실은 일제강점시기에 대부분 훼손되었고, 그중 일부만 현재 국내 각 지역에서 복원되어 관리되고 있다. 정조대왕 태실은 국내 현존하는 태실 중에 석물을 포함한 봉안유물과 문헌자료가 완벽하게 세트를 갖춘 상태로 잘 보존된 대표적인 태실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필자는 정조대왕 태실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우선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정종대왕태실가봉의궤(正宗大王胎室加封儀軌), 지방사료 등에서 정조태실 조성과 관련된 문헌자료를 찾아 정리해 보았으며, 태봉의 풍수지리적 위치와 현황, 태실석물의 각 부재에 대한 세부 양식 검토, 봉안된 유물의 특징 등을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자료는 추후 태실유적에 대한 연구와 정비 복원 등의 기초 자료로 중요하게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동안 태실유적은 학계에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던 분야였으나, 최근 들어 태실유적에 대한 고고학적인 발굴조사와 미술사적인 접근이 이뤄져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앞으로 태실유적은 문헌사, 고고학, 미술사 등 다방면에 걸친 분야에서 종합적으로 검토된다면 학술적 연구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