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Deterioration State and Conservation Treatment Types for State-designated Stone Cultural Heritage in Korea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훼손상태에 따른 보존처리 상관성 연구

  • Lee, Myeong 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un, Yu Gu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Mi Hye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Jae Ma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Sung Mi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Jae Hwa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전유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미혜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재만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박성미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재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Received : 2013.09.30
  • Accepted : 2013.11.06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priority criteria of the need of conservation treatment for stone cultural heritage, although many of them have been treated and restored over the past decade. This study approached the correlation between damage grade and the need of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damage diagnosis of stone cultural heritage carried out from 2001 to 2005. The number of Third-graded (from First to Fifth-grade) stone heritage in deterioration was the highest among state-designated stone cultural heritage. The Fourth-graded stone cultural heritage (143 in total) was mostly influenced by high physiochemical deterioration, whereas the Fifth-graded ones (61 in total) was dominantly affected by biological colonization. It was estimated that total 211 stone cultural heritage were treated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rom 2002 to 2011. They were usually cleaned (total 134, 26.1%), joined and consolidated, and maintenance works as shelter construction, drainage installation and surrounding cleaning were carried out for some of them. The number of conservation intervention increased with the high deterioration grade, and the case number of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By age, the stone cultural heritage in Three-kingdom Period were treated the most, and other heritage in Unified Shilla, Goryeo and Joseon showed an approximate ratio. The stone cultural heritage fallen in the fifth-grade in deterioration demonstrated the highest ratio, approximately 80% of conservation interven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define the emergency criteria for conservation intervention policy.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정기조사 이후에 많은 석조문화재가 보수 보존처리 되었지만 아직까지 훼손상태 및 등급에 따른 보존처리 기준이 모호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훼손유형 및 등급에 따른 보수 보존처리의 원인을 통계분석하여 석조문화재의 훼손등급과 보존처리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석조문화재의 모든 훼손유형에서 3등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등급별로 보면 4등급은 풍화상태가 143건, 5등급은 생물영향이 61건으로 가장 많았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실시된 보존처리는 총 211건으로 집계되었다. 보존처리 유형은 표면세정(134건, 26.1%), 수지접합, 강화처리 등이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석조문화재에 대한 직적접인 처리 이외에도 석조문화재의 보존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보호각 설치, 배수로 정비, 주변정비공사 등이 실시되었다. 보존처리율은 전반적으로 훼손등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성암석에 따라서는 변성암 및 퇴적암이 화성암으로 구성된 석조문화재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대에 따라서는 삼국시대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축조된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율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최대훼손등급에 따른 보존처리율 살펴보면, 5등급에서 매우 높은 약 80%정도의 비율을 보이며 2012년에 보존처리된 석조문화재 수를 합하면 보존처리율은 더 높아진다. 이 결과는 향후 국내 석조문화재의 훼손상태에 대한 보존처리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