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iculum development group specializing in the Department of Hu-man Resources plan

군 전문인력 양성학과 교육과정 개발 방안

  • Received : 2013.05.09
  • Accepted : 2013.05.27
  • Published : 2013.05.30

Abstract

Defense reform our military for the globalization of information. Scientific command structure, troop structure, unit structure, step-by-step into the power structure while promoting a history of quantitative-oriented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quality of state-of-the-art technology-driven transition in the middle of the bottle numberplans about the current 3.3-fold increase in reducing the cadre(officers and NCOs). NCO groups in the executive, especially expanding the current level of 100% increase in the rate of long-serving, while ensuring a stable job and to superior resources to secure a stable policy through science. Military alliance is now underway. In the midst of this group, and urged the group at the University of the leading military and specialized resources to ensure each agreement required by subjects to reflect. Thus effectively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demands of the job analysis, DACUM curriculum development methods and procedures can be applied at the time of urgent need for foster an excellent resource for the discharge of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University of Selected as a core job, career, and job classification configuration inside of Duty according to KST derived from the group reflect on the training courses to meet the requirements in the curriculum through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job definition, job model set to propose.

우리 군은 세계화 정보화 과학화를 위해 국방개혁을 지휘구조, 병력구조, 부대구조, 전력구조를 단계적으로 추진하면서 병력위주의 양적 구조를 기술위주의 질적 첨단구조로 전환하고 있는 가운데 병의 숫자는 줄이면서 간부(장교와 부사관)을 약 현재의 3.3배로 증가할 계획이다. 특히 간부집단에서 부사관을 현재 수준의 100%를 증가하여 장기복무율을 확대하고 안정적인 직업성을 보장하면서 우수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학 군제휴를 통해 정책적으로 추진중에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군에서는 군을 선도하고 전문화된 자원 확보를 위해 각 협약대학에 군에서 요구하는 과목을 반영할 것을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교육의 질을 향상하고 우수한 자원을 육성하여 배출하기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한 시점에 DACUM 교육과정 개발 방법 및 절차를 적용하여 직업의 요구분석, 핵심직무선정, 직업 및 직무분류, 직무의 정의, 직무모형설정 등을 통해 Duty에 따른 K.S.T도출하여 군에서 요구한 교육과목 반영에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을 통한 교육과정 구성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육군부사관학교, 충용대 논단 6집, pp26. 2010.
  2. 육군부사관학교, 충용대 논단 6집, pp146. 2010
  3. (주) 월드리서치,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교육관. pp26. 2001
  4. 육군본부, 부사관 인력획득정책 추진(PPT), pp37. 2012
  5. 육군부사관학교, 충용대 논단 6집.pp150. 2010
  6. 육군교육사령부, 학군제휴 군사교육 발전토의(PPT), 2012
  7. 이성호, 교육과정개발의 원리 pp199. 1982
  8. 동부산대학교, 현장 중심 직무기반 교육과정과정 매뉴얼. pp5. 2012
  9. 권재길, DACUM을 적용한 교육과정 개발 방법, pp1. 동부산대학교. 2011
  10. 통계청, htt://www.work.go.kr. 한국표준직업 분류
  11. 육군부사관학교, 충용대 논단 6집. pp15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