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n the Terror Network in Smart Media Era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테러네트워크에 관한 고찰

  • 임유석 (선문대학교 경찰행정법학과) ;
  • 김상진 (백석문화대학교 경찰경호학부)
  • Received : 2013.05.13
  • Accepted : 2013.05.20
  • Published : 2013.05.30

Abstract

Today, the structure of terrorist organizations in the form of a variety of network complexity are evolving. However, terrorist organization not combining randomly generated network but preferential attachment a network. So, it's research should be preceded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type of terror network for a effective counter-terrorism policy of law enforcement. In addition, the appropriate response strategy have to technique establish in an era of smart media. In particular, homegrown terrorist attacks on unspecified people without boundaries of countries and regions unlike the traditional terrorism. Also, homegrown terrorism are violence and criminal activity by new various of religion, politics, philosophy. Besides the extreme members of homegrown terror networks went grow up through the evolutionary process in the age of smart media. Law enforcement agencies must identify the terrorist network at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terror networks evolving in the online space, forming a radical homegrown terror organizations have access to the network. Intelligence community track terrorist networks and to block the negative aspects of the smart media outlets should be considered.

오늘날 테러조직의 구조는 복잡 다양한 네트워크 형태로 진화하고 있지만, 이는 무작위로 결합하여 생성된 네트워크가 아니라 선호도 결합 형태를 띠는 네트워크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법집행기관의 효과적인 대테러 대책을 위해서는 테러네트워크의 특성과 유형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스마트미디어 시대에 적합한 기술 정보적 전략들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자생테러리즘은 전통적인 테러리즘과는 달리 국가와 지역의 경계 없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정치 이념 종교 등 다양한 목적의 폭력행위를 일삼는 새로운 형태의 위험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스마트미디어 시대에서 극단적인 자생테러네트워크의 구성원들은 특유한 형태의 급진화 과정을 겪으면서 성장하고 있으며 활동영역 또한 추상적이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의 법집행기관들이 치밀하게 테러네트워크를 파악해야만 한다. 아울러 온라인 공간에서 은밀하게 형성되고 진화되는 급진적이고 자생적인 테러조직 네트워크 형성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미디어 매체들의 부정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테러네트워크에 대한 추적과 차단에 정보공동체들이 활용해야만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철현, "국내 자생테러 발생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슬람 자생테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21권, 제4호, pp. 61-89, 2010.
  2. 윤민우, "소셜 네트워크 접근을 통한 테러네트워크 이해와 분석 및 전략적 접근방안: 탈레반, 알카에다 등의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22권, 제1호, pp. 201-230, 2011.
  3. 윤장우,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도래 및 발전방향," 방송공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10-22, 2013.
  4. 조준면, 김명은, 홍진우, "스마트미디어 검색기술동향 및 전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29권, 제10호, pp. 37-43, 2012.
  5. 최응렬, "자생테러리즘의 발생가능성과 지역사회에서의 대응방안," 대테러연구, 제34집, pp. 215-242, 2012.
  6. 최응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사용현황 및 테러발생 가능성 진단," 대테러연구, 제35집, 2013.
  7. 최진혁,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위험성 및 Policing(경찰활동)에 미칠 영향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9호, pp. 301-336, 2011.
  8. 한국인터넷진흥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현황," 2010.
  9. Bakier, A. H., "The New Issue of Technical Mujahid, a Training Manual for Jihadis," Terrorism Monitor, Vol. 5, No. 6, The Jamestown Foundation. 2007.
  10. Berkowitz, B., 'The new face of war: how war will be fought in the 21st century,' New York: The Free Press. 2003.
  11. Boyd, D. M. and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3. 2007.
  12. Citron, D. K. and Norton, H., "Intermediaries and hate speech: Fostering digital citizenship for our information age," Boston University Law Review, Vol. 91, p. 1438-39, 2011.
  13. Conway, M., "Terrorist use of the Internet and Fighting Back," Information & Secur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19, p. 11, 2006.
  14. Geoff, D., Peter, B. and Newman, J., "The Dark Side of Social Media: Review of Online Terrorism," Pakistan Journal of Criminology, Vol. 3, No. 3, pp. 103-122, 2012.
  15. Precht, T., 'Homegrown Terrorism and Islamist Radicalization in Europe', Research Report, Danish Ministry of Justice. 2007.
  16. Sageman, Marc,' Understanding terror networks,'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4.
  17. Scott, H., 'Edges of Radicalization: Individuals, Networks and Ideas in Violent Extremism,' The Combating Terrorism Center at West Point, 2012.
  18. Weimann, G., "Terror on Facebook, Twitter, and Youtube," The Brown Journal of World Affairs, Vol. 16, No. 2, pp. 45-5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