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RFID 분야가 주목을 받으면서 안테나 기술자들은 기존과 다른 tag 안테나와 reader 안테나를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맞추기 위해 많은 접근을 시도해왔다[1]. RFID의 단일 주파 수 대역에 대해 현장에서의 인식률 향상이나 피부착 상품의 재료 및 구조적 조건을 고려하면서 크기가 방사체의 크기 축소가 큰 관심거리이다.
상품 유통이 활발해짐에 따라 RFID 레이블을 부착한 제 품이 하나의 표준지역에서 다른 표준지역으로 가야될 상황 은 흔히 발생한다. 그런데 이동영역의 RFID 표준이 달라지 면 기존에 사용해오던 단일 대역용 레이블은 사용할 수 없 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는 주파수 다양성(diversity)은 물론 인식률 향상을 위해 공간 다양성(지향성/편파)을 가져야 끊 임없는 무선링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군 용 RFID 주파수의 다채널(다중대역) 공간 diversity를 갖는 안테나를 최적 설계하여 RFID 성능의 하나인 인식률을 극 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간략히 국내외 기술적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 국의 인터멕과 일본의 히다찌가 안테나의 소형화 기술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2, 3]. 그러나 이중대역 이상의 다양성 확보용 연구보다 음영지역을 없애는 방법과 다중 Tag들이 혼재되어 있을 때 신호 간 충돌방지 해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중대역을 가지는 연구는 대학교 연구실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경향을 가지는데 Georgia 공대에서 공간 diversity 를 위해 재구성형 안테나 시스템 개발을 발표하였으나 단점으로 보이는 것은 여전히 음영지점이 발생하고 안테나 소자 간의 간섭을 제거하지 못했다는 것과 핀 다이오드와 같은 능동소자를 부착하여 단가가 상승한다는 것이다[4, 5]. 유럽 의 상황을 볼 때 스위스 연방공대 ETH에서 이중대역에 대 한 결과를 내놓았으나 편파가 세계적 표준으로 채택되지 않 은 성능을 보여 상품화에 의문이 제기되었다[6].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UHF대역에서 동작하는 reader 안 테나의 소형화 설계가 제시된다. 대역별로 별도의 안테나들 을 두면 부피가 커지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일 급전, 단일 몸체에서 두 개의 공진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두 개 의 공진 주파수 각각에서 입력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반사손 실을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reader와 tag간 인식거리를 확 보하기 위해 전자파 방사효율을 극대화하고 이득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제안한 구조는 전자장 모의시험을 통해 이득 이 1dBi 이상, 효율이 70% 이상, 반사손실은 –10dB 이하이 면서 무지향성 방사패턴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제안된 구조는 FR-4 기판으로 제작되고 예측된 성능이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확인한다.
2. 제안하는 구조의 초기설계와 전자장 모의시험
설계에 들어가기에 앞서 목표성능을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설계사양 Table 1 Design specifications
국방 RFID 인식률 향상을 위해 주파수 diversity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를 설계하는 것이 목적이며, 국방 logistics automated service에 적합한 UHF RFID 주파수 대역인 433MHz와 900MHz를 선정하였다[7]. 이 주파수에서 공진이 가능한 단일 급전, 단일 몸체 안테나로 그림 1의 구조를 제시한다.
그림 1브랜치 윙을 가지는 다이폴 안테나의 기본구조 (a) 전체 구조 (b)한 쪽만 확대 Fig. 1 Initial geometry of the branched wing dipole (a)Overall view (b)its half
그림 1은 두 대역에 해당하는 다이폴 안테나의 급전부를 연결하여 이중 대역을 만들어내는 브랜치 윙 안테나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1(b)에 나타낸 대로 안테나 상 단부인 433MHz 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한쪽 길이는 급전부 를 포함하여 약 168mm로 433MHz의 공진을 담당한다. 그리 고 하단부인 900MHz 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한쪽 길이는 급 전부를 포함하여 약 88mm로 900MHz의 공진을 발생시킨다. 윙의 브랜치 분기점과 급전점의 거리, 브랜치의 상하 길이를 조정하여 433MHz와 900MHz에서 공진을 유도하는 이중 대 역 구조인 것이다. 각각의 주파수에 대한 별도의 안테나 방 사체들을 두고 독립된 급전을 하는 일반적인 구조와 비교시 면적을 많이 줄이게 되어 소형화의 목적에 부합한다. 이 기 본구조가 위의 치수와 4mm의 급전부의 간격을 가질 때 전 자장 모의시험에 의해 그림 2와 같은 반사손실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림 2는 그림 1의 브랜치 윙형 다이폴 안테나의 입력 임 피던스 계열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433MHz 지점에서 약 –21dB, 900MHz지점에서 약 –13dB의 반사손 실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는 안테나의 이중대역 특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림 2브랜치 윙을 가지는 다이폴 안테나 기본구조의 반사손실 특성 Fig. 2 Return loss of the initial geometry of the branched wing dipole
그림 3해당 공진주파수에서의 브랜치 윙 다이폴 안테나의 표면전류 (a) 433MHz (b)900MHz Fig. 3 Surface current at each of the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branched wing dipole (a) 433MHz (b)900MHz
그림 3은 이중대역 브랜치 윙형 다이폴 안테나의 표면 전 류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3(a)는 433MHz에서 공진시 표면 전류이며 그림 3(b)는 900MHz 공진시 표면 전류를 나 타내고 있다. 그림 3(a)에서 433MHz의 공진형상은 긴 윙 브 랜치를 따라 흐르는 전류에 주된 영향을 받고 그림 3(b)에 서 900MHz의 공진현상은 짧은 윙 브랜치를 따라 흐르는 전 류에 주된 영향을 받는다.
각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분 외에 서로 다른 쪽의 안 테나에도 전류 흐름이 생기는 상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더 세밀한 설계와 튜닝을 통하여 개선할 수 있으나 위 구조는 기초 구조이므로 세밀한 튜닝은 생략한다.
그림 4해당 공진주파수에서의 브랜치 윙 다이폴 안테나의 3차원 방사패턴 (a) 433MHz (b)900MHz Fig. 4 3D Beam-patterns at the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branched wing dipole (a) 433MHz (b)900MHz
그림 4는 제안된 기본형 안테나의 3차원 방사 패턴을 보 여주고 있다. 433MHz 대역에서는 무지향성 원거리 방사패 턴을 보이고 있으며 이득은 약 2.153dBi, 방사효율은 약 99%로써 100%에 가까운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900MHz 대역에서는 433MHz 윙 브랜치가 산란구조 작용을 함으로써 전자파 전력 분포가 완전한 무지향성에서 약간 벗 어난 모습을 보이며 이득은 약 2.462dBi, 방사효율은 약 98.5%를 보이고 있다.
표 2브랜치 윙 다이폴 안테나 기본형의 성능 Table 2 Performance of the initial branched wing dipole
그림 5는 그림 4에서 얻어진 3차원 빔 패턴이 아닌 두 공 진 주파수에서의 azimuth면과 elevation면상의 2차원 빔 패 턴이다. 특히 azimuth면의 패턴들을 통해 reader 안테나에 필요한 무지향성이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 안된 이중대역 안테나의 기본형 특성은 표 2로서 요약가능 하다.
그림 5해당 공진주파수에서의 브랜치 윙 다이폴 안테나의 2차원 방사패턴 (a) 433MHz (b)900MHz Fig. 5 2D Beam-patterns at the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branched wing dipole (a) 433MHz (b)900MHz
3. 제안하는 최종구조와 물리적 구현
앞에서 제안된 기본형은 PET병과 같은 투명 플라스틱 재질과 잘 어울린다. 그런데 산업용이면서 외부환경에서 많 이 쓰이는 점을 감안하며 기구적으로 좀 더 안정되면 좋은 데 FR-4 기판에 코팅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적합한 모습으 로 변형하면 아래의 구조와 같다.
그림 6은 개선된 형태의 브랜치 윙형 이중대역 다이폴 안 테나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즉 FR-4 기판 위에 프린팅하 여 기구적으로 안정되고 그림 1의 이상적인 급전법을 현실 성 있게 바꾼 것이다. 제안된 안테나는 0.6mm 두께와 176x77mm 크기의 FR-4 기판(유전율: 4.4, 손실 탄젠트: 0.02)위에 금속으로 프린팅 형식을 취하며 다이폴의 양팔에 각각 접지와 신호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급전부를 개선하였 다. 또한 그림 6(a)에서 볼 수 있듯이 이중대역 다이폴 안테 나의 433MHz 공진용 긴 윙 브랜치는 미앤더 형태로 변경하 여 유효길이를 줄였다. 이 때 900MHz 공진용 짧은 윙 브랜 치와 간섭이 발생하여 성능열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브랜치는 단계적으로 꺾어 그 길이가 유지되면서 433MHz 공진용 긴 윙 브랜치와 간섭이 최소화가 되도록 변형시켰 다. 이 과정에서 433MHz 공진용 긴 윙 브랜치의 총 길이는 201mm가 되고 900MHz 짧은 윙 브랜치의 총 길이는 76mm 로 조금 더 짧은 길이가 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공진 특 성을 확인하기 위해 그림 7에서 모의시험에 의해 반사손실 을 그려보았다.
그림 7은 개선된 형태의 이중대역 브랜치 윙형 다이폴 안 테나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고 있다. 433MHz에서는 약 –11dB, 900MHz에서는 약 –14dB의 반사손실을 보인다. 이는 본 연구에서 요구하는 이중대역 특성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래프 상에서 눈에 띄는 불요공진 등도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림 6브랜치 윙 다이폴 안테나의 최종구조 (a)상면도 (b) 하면도 Fig. 6 Final geometry of the branched wing dipole (a)Top-view (b)Bottom-view
그림 7브랜치 윙 다이폴 안테나 최종구조의 반사손실 Fig. 7 Return loss of the final geometry of the branched wing dipole
그림 8해당 공진주파수에서의 브랜치 윙 다이폴 최종 안 테나의 표면전류 (a) 433MHz (b)900MHz Fig. 8 Surface current at each of the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branched wing dipole (a) 433MHz (b)900MHz
그림 8은 개선된 이중대역 브랜치 윙형 다이폴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표면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433MHz 주 파수에서는 미앤더 형태의 길이가 긴 안테나 부분에 표면전 류가 많이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900MHz에서는 하단 계단 형의 안테나 부분을 따라 표면전류가 크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림 9최종 브랜치 윙 다이폴 안테나의 3차원 방사패턴 (a) 433MHz (b)900MHz Fig. 9 3D Beam-patterns of the final branched wing dipole (a) 433MHz (b)900MHz
그림 9는 최종 이중대역 브랜치 윙형 다이폴 안테나의 공 진 주파수별 3D 방사 패턴이다. 기본형 이중대역 안테나와 유사한 방사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433MHz 900MHz에서의 이득은 각각 1.923dBi, 1.987dBi를 나타내고 있다. 목표이득 을 모두 만족한다.
그림 10개선된 브랜치 윙 다이폴 안테나의 2차원 방사패턴 (a) 433MHz (b)900MHz Fig. 10 2D Beam-patterns of the final branched wing dipole (a) 433MHz (b)900MHz
그림 10은 그림 9에서 얻어진 3차원 빔 패턴이 아닌 두 공진 주파수에서의 azimuth면과 elevation면상의 2차원 빔 패턴이다. 효율은 433MHz에서는 92,5%, 900MHz에서는 96.4%를 갖는다. 그리고 azimuth면의 패턴들을 통하여 reader 안테나에 필요한 무지향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제안된 이중대역 안테나의 최종구조의 특성은 표 3으로 요약가능하다.
표 3브랜치 윙 다이폴 안테나 최종구조의 성능 Table 3 Performance of the final branched wing dipole
본 안테나 설계가 실재환경에서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의 기판과 물리적 치수를 기반으로 시제품이 제작되었 고 상용 RFID tag의 인식률 테스트 과정을 거쳤다. Tag는 RFID UHF 대역의 표준형인 ALN-964x, ALN-9540, ALN-9622이 선택되었고 제안된 안테나는 reader로서 동작 하였다.
세 가지 태그중 성능이 제일 좋은 ALN-964x의 경우에는 3.3m에서 인식률이 75%로 최장거리를 나타내고 있었다. 두 번째 경우인 ALN-9540의 경우에는 칩으로 Higgs-2가 사용 된 태그로 칩 성능은 다른 두 태그보다 떨어지지만 태그 안 테나의 성능이 더 뛰어나 2.9m까지 인식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ALN-9622 태그의 실험 결과는 2.4m까지 인식 가능한 것으로 확인 하였다. 따라서 증폭기가 없는 상태에 서 표준형 tag들의 정보를 읽어낼 수 있는 거리가 2m를 넘 는 것을 통해 RFID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1피측정 중인 안테나 Fig. 11 Antenna under test
4. 결 론
RFID UHF 이중대역에서 동작하는 reader 안테나의 소형 화 설계가 제시되었다. 대역별로 별도의 안테나들을 두면 부피가 커지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일 급전, 단일 몸 체에서 두 개의 공진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두 개의 공진 주파수 각각에서 입력 임피던스를 매치시켜 반사손실을 최 소화한다. 이를 통해 reader와 tag간 인식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전자파 방사효율을 극대화하고 이득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제안한 구조는 전자장 모의시험을 통해 이득이 1dBi 이상, 효율이 70% 이상, 반사손실은 –10dB이하이면서 무지 향성 방사패턴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제안된 구조는 FR-4 기판상에서 제작되고 RFID tag-reader 실험을 통해 로지스틱스에서 활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References
- Klaus Finkenzeller, RFID Handbook: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in Contactless Smart Cards and Identification, Wiley, 2003. 5
- P. Nikitin, Sensing with UHF RFID: an Overview, 6th IEEE UWB Forum on Sensing and Communications, TU Graz, Austria, May 5, 2011
- Hitachi Develops World's Smallest RFID Chip from 'TheFutureofThings'
- N. Langer, C. Forman, and S. Kekre,"Assessing the Impact of RFID on Return Center Logistics," Interfaces, Vol. 37, No. 6, November-December 2007, pp. 501-514. https://doi.org/10.1287/inte.1070.0308
- N. Kingsley, D. E. Anagnostou,M. Tentzeris,and J. Papapolymerou, "RF MEMS Sequentially Reconfi gurable SierpinskiAntenna on a Flexible Organic SubstrateWith Novel DC-Biasing Technique," Journal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Vol. 16, No. 5, October.
- J. L. M. Flores, S. S. Srikant, B. Sareen, and A. Vagga, "Performance of RFID tags in near and far field," in IEEE Int. Conf. on Personal Wireless Commun. (ICPWC) '05, (New Delhi), pp. 353-357, Jan. 2005.
- S. Kahng, Chapter 3 : 'Design Fundamentals and Advanced Techniques of RFID Antennas' i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RFID Technology' Edited by Cristina Turcu, ISBN 978-3-902613-54-7, In-Tech
Cited by
- Design of HF-UHF dual Band Tag Antenna vol.52, pp.2, 2015, https://doi.org/10.5573/ieie.2015.52.2.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