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n SVM based Step Detection Analyzer

SVM 기반의 걸음 검출 분석기의 구현

  • 안경호 (대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김은태 (대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류욱재 (대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장윤석 (대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Received : 2013.09.01
  • Accepted : 2013.09.09
  • Published : 2013.10.30

Abstract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step detection analyzer that can compare and analyze the step detection rates and results among the step detection algorithms. The step detection analyzer converts 3-axes accelerometer data into continuous energy stream through SVM operation, shows the horizontal comparison among the step detection results for each step detection algorithms, and can make elemental detection analyses. For these processes, the step detection analyzer presents the continuous energy stream as energy waveform, checks the peak values and time location of the detected steps with step detection algorithms, and gives visual interface to get some possible causes in cases of step detection miss. It can also give the threshold graph for each algorithm to check the threshold value on missed cases directly and can help to get more appropriate threshold values or other adjustable parameters in step detection algorithm. This step detection analyzer can be applied efficiently on performance enhancement of step detection algorithm, on deciding an appropriate algorithm for a specific step counter system in the various step counter filed operations.

본 연구에서는 걸음 검출 알고리즘들의 걸음 검출률과 걸음 검출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걸음검출 분석기를 구현하였다. 걸음 검출 분석기는 3축 가속도 센서의 데이터를 SVM 연산을 통하여 연속적인 에너지값으로 변환하고 걸음 측정 장치들에 사용되고 있는 걸음 검출 알고리즘들을 적용하여 걸음 검출결과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걸음 검출의 과정과 검출 형태, 그리고 정확성을 분석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하여 걸음 검출 분석기는 에너지값을 에너지 파형 그래프로 나타내고, 걸음 검출 알고리즘을 에너지값에 적용하여, 걸음으로 검출된 Peak값들과 위치를 확인하고, 실제 걸음이 정상적으로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원인을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걸음 검출 알고리즘마다 걸음 검출에 적용된 임계값을 그래프화하여 같이 표시함으로써, 걸음으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 임계값을 바로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적절한 임계값을 구하는 수식의 조정에 필요한 요소들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된 걸음 검출 분석기는 여러 걸음 검출 알고리즘을 수평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측정 장치에 가장 적합한 걸음 검출 알고리즘을 선택하거나, 기존의 걸음 검출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방안을 파악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걸음 검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또는 걸음 측정 장치의 설계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http://www.index.go.kr/egams/stts/ 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 cd=2758. 2012.
  2. 김완수, "고령화 시대 노인 운동의 중요성 및 방법," 인문과학연구, 제33집, pp. 29-53, 2009.
  3. 임회진, 김유식, 조형석, 김창희, 임희정, 정희성, 임지애, 윤병곤, 백일영, 서상훈, "규칙적인 걷기운동이 질환별 노인의 건강변인에 미치는 효과," 생명과학회지, 제19권, 제12호, pp. 1750-1757, 2009.
  4. 남윤영, 최유주, 조위덕, "이미지센서와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인간 행동 인식,"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 129-141, 2010
  5. 염정남, 이금분, 박정진, 조범준, "GPS와 가속도계를 이용한 이동 물체의 위치 추정 시스템,"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 600-607, 2009.
  6. 이은숙, 박만곤, "u-Healthcare 기반의 걷기운 동 활동량 측정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3권, 제2호, pp. 709-712, 2010.
  7. Jeong Won Kim, Han Jin Jang, Dong-Hwan Hwang, and Chanisk Park, "A Step, Stride and Heading Determination for the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Journal of Global Positioning Systems, Vol. 3, No. 1-2, pp. 273-279, 2004 https://doi.org/10.5081/jgps.3.1.273
  8. 김윤경, 김성목, 노형석, 조위덕,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걸음 수 검출 알고리즘,"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 17-26, 2011.
  9. 정도운, 정완영,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자세 및 활동 모니터링," 센서학회지, 제16권, 제6 호, pp. 467-474, 2007.
  10. 노윤홍, 예수영, 정도운, "3축 가속도를 이용한 활동상태 분류 시스템 구현 및 알고리즘 개발,"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제24권, 제1호, pp. 81-88, 2011.
  11. 이인호, 김정채, 정석명, 유선국,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걸음수 검출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ICS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 논문집, pp. 476-477, 2008
  12. 유향미, 서재원, 차은종, 배현덕,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보행 횟수 검출 알고리즘과 활동 모니터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4호, pp. 253-260,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8.253
  13. 류욱재, 김은태, 안경호, 우성훈, 장윤석, "Bluetooth USN 기반의 Lifestyle 측정 시스템," 한국 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제2호, pp. 1231-1234 , 2012.

Cited by

  1. A Way of Unusual Gait Cognition for Life Safety vol.11, pp.2, 2016, https://doi.org/10.13067/JKIECS.2016.11.2.215
  2. 웨어러블 동작센서와 인공지능 학습모델 기반에서 행동인지의 개선 vol.21, pp.8, 2013, https://doi.org/10.9717/kmms.2018.21.8.982
  3.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Walkability and the Changes in Pedestrian Policy through Wearable Sensing vol.12, pp.24, 2013, https://doi.org/10.3390/su122410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