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ent's Gestalt Speech Intervention for Fluency Development of Fluency Disorder he Subject of Essay

부모의 게슈탈트적 언어 중재가 유창성장애인의 유창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

  • 고영옥 (대림대학교 언어재활과)
  • Received : 2013.07.25
  • Accepted : 2013.10.14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of the effects of the Parent's Gestalt Speech Intervention for stuttering development of Fluency disorder Child. The Parent's Gestalt Speech Intervention was made up of a program understand phase, an awareness phase, a change phase and, finally, an arrangement and termination phase. The subjects 6 (female 2, male 4) of this research were developed a stuttering behavior without any apparent neurological damage or other speech or developmental impediments. To access their stuttering behaviors, I used methods for observing levels of behavioral in each pha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regard to stuttering behavior, word repetition frequency decreased in the interim assessments, showing that the learning of fluent speech was acquired early in the therapy proces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Parent's Gestalt Speech Intervention for stuttering development of Fluency disorder Child.

본 연구는 부모의 게슈탈트적 언어중재를 통한 유창성장애인의 유창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부모의 게슈탈트적 언어중재 과정은 유창성장애인의 말더듬 행동에 대한 이해, 자각, 변화, 적응 그리고 유지단계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신경학적 손상이나 다른 언어 및 발달 장애가 없는 유창성장애인 6명(여성 2명, 남성 4명)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게슈탈트적 언어중재 후 유창성장애인의 말더듬 빈도는 감소하였다. 대상자 모두 비정상적인 유창성 중 단어부분 반복이 치료 전에는 가장 많이 빈도를 나타내었으나 치료 후에는 가장 적은 빈도를 나타내어 개선을 보였다. 그러므로 부모의 게슈탈트적 언어중재는 유창성장애인의 말더듬 빈도를 감소시키며 행동을 긍정적 방향으로 개선시키데 효과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선아, 하양숙,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3호, pp.228-23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227
  2. C. Van Riper, The treatment of stuttering(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3.
  3. Yontef, G. Awareness, dialogue and process: Essays on gestalt therapy, New York: The Gestalt Journal Press. 1993.
  4. 고영옥, 권도하, "말더듬재발 성인을 위한 이야기 치료가 상태불안 및 말더듬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5권, 제1호, pp.65-84, 2009.
  5. 안수영, 정현주, "언어장애아동의 사회적응과 가족관련변인간의 경로분석-어머니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5권, 제3호, pp.167-188, 2009.
  6. B. Guitar, Stutter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its nature and treatment,"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8.
  7. W. Johnson, The Onset of stuttering,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m Press., 1959.
  8. 이은경, 석동일, 부모중심 언어중재가 인공와우이 식 아동의 수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음성과학, 제14권, 제3호, pp.147-160, 2007.
  9. 이인수, 오진환, 권인숙, "마음수련명상의 지속기간에 따른 정신건강의효과",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42-353, 2013.
  10. H. H. Gregory, Stuttering therapy, Boston: Allyn and Bacon, 2003.
  11. B. Ryan, Programmed therapy for stuttering in children and adults, Illinois: Charles C Thomas, 2001.
  12. L. Jacobs, Shame in the therapeutic dialogue. In R. Lee and G. Wheeler(Eds), The voice of shame, San Francisco: Jossey-Bass, 1996.
  13. F. S. Perls, The gestalt approach and eyewitness to therapy, New York: Bantam Books, 1976.
  14. K. I. Logan and J. S. Yaruss, "Helping parents address attitudinal and emotional factors with young children who stutter," Contemporary Issues in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Vol.26, No.1, pp.69-81, 1999.
  15. C. Van Riper, The nature of stuttering,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Inc. 1982.
  16. 고영옥, 권도하, "게슈탈트치료기법이 유창성장 애성인의 말더듬 행동 및 자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제9권, 제1호, pp.19-43, 2008.
  17. G. Yontef, Gestalt therapy, In A. Gurman and S. Messer(Eds.), Essential psychotherapies, New York: Guilford Press., 1995.
  18. L. Emerick, Counseling adults who stutter: A cognitive approach.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Thieme Medical Publishers), Vol.9, No.3, pp.257-27, 1988.
  19. F. Fransella, Personal change and reconstruction, New York: Academic Press., 1972.
  20. B. Guitar, "Pre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utcome of stuttering therap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18, No.3, pp.590-600, 1976.
  21. 김동수, 게스탈트 치료의 유창성장애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22. J. Zinker, Creative process in Gestalt therapy, New York: Random House,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