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Gangnam style' Music Video through the Concepts of Kitsch and Meme

싸이의 영상 뮤직비디오 '강남스타일'에 드러난 키치(Kitsch)와 밈(Meme)에 대한 탐구

  • 이현석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Received : 2013.08.01
  • Accepted : 2013.10.25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se the 'Gangnam style' which has achieved worldwide recognition and became the first YouTube video to reach a billion views on December 2012, since it has released on 15th of July, 2012. Why 'Gangnam style' is so popular and how Cy's music video has spread across the world remarkably in very short period of time? It is suggested that the 'Gangsnam style' phenomenon can be explained by 'Kirtsch' and 'Meme', however there is no pertinent analysis in an academic way.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addressing the 'Gangnam style', global cultural phenomenon, by the Kitsch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global audience and the Meme engaged with global diffusion of music video in a cultural view. Therefore, this research reviews a broad range of literatures and seeks characteristics of two theories, on the ground of this, 'Gangnam style' will be investigated to verify the reason caused cultural phenomenon.

싸이의 영상뮤직비디오 '강남스타일'은 지난 2012년 7월 15일 세계 최대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YouTube)에 공개 된지 161일 만에 조회수 10억 건을 돌파하며, 전 세계 '강남스타일' 열풍을 일으켰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이토록 짧은 시간에 세계적인 파급을 일으킨 이유는 무엇일까? 학계에서는 이러한 유례없는 세계적 문화 현상에 대해 다양한 분석과 함께 일부 언론에서는 '키치'와 '밈' 이론을 언급하였지만, 그 구체적 검증에 대한 사례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남스타일'에 대한 범지구적 대중의 수용에서는 '키치'를 중심으로 알아보았으며, '강남스타일'의 세계적 '확산' 과정에서는 문화복제이론인 '밈'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는 '강남스타일' 현상에 대해 문화의 모방과 전파의 관점에서 종합적이고, 심도 있는 분석을 하고자 두 이론을 차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해석적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라 사료된다. 이를 위해, 문헌과 사례조사를 통해 키치와 밈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 조건을 도출한 후 '강남스타일'에 드러난 세계 보편의 대중적 정서와 문화의 확산에 대한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병애, "독일문학작품에 나타난 키치에 대한 연구", 독일문학, 제14집, p.73, 1973.
  2. R. C. Solomon, 김영미 역, On Kitsch an Sentimentality, Jacc, 겨울호, p.127, 1991.
  3. H. Arnold, 최성만, 이병진 역, 예술의 사회화, 서울 한길사, p.249, 1990.
  4. C. Greenberg, "Avant-Garde and Kitsch," Partisan Review, Vol.6, p.38, 1939.
  5. 조중걸, 키치, 우리들의 행복한 세계, 프로네시스, p.9, 2007.
  6. L. Giesz, Phanomenologie des Kitsches, Heidelberg: Rothe, 1960.
  7. 조중걸, 키치, 우리들의 행복한 세계, 프로네시스, p.11, 2007.
  8. 조중걸, 키치, 우리들의 행복한 세계, 프로네시스, 2007.
  9. A. Moles, 엄광현 역, 키치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p.283, 1996.
  10. A. Moles, 엄광현 역, 키치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p.12, 1996.
  11.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1209 /h20120919213303113100.htm
  12. 윤진, "포스트모던 시대의 대중문화 -저항과 키치사이-",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26집, p.1-29, 2008.
  13. 조중걸, 키치, 우리들의 행복한 세계, 프로네시스, p.83, 2007.
  14.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 w.html?artid=200507191755541&code=990307
  15. 류승호,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의 제품디자인 수용을 위한 이해", 디자인학연구, 제3권, 제18호, pp.199-208, 2005.
  16. C. Philip, "Kitsch," British Journal of Aesthtics, Vol.23, No.1, pp.48-52, 1983. https://doi.org/10.1093/bjaesthetics/23.1.48
  17. R. Dawkins, The Selfish Gene, Oxford University Press, 2nd Edition, 1989.
  18. R. Dawkins, The Selfish Gene, Oxford University Press, 2nd Edition, p.192, 1989.
  19. 수전 블랙모어, 김명남 역, 밈, 바다출판사, 2010.
  20. 앨런 그래펀, 마크 리들리, 이한음 역, 리처드 도킨스, 우리의 사고를 바꾼 과학자, 을유문화사, p.254, 2007.
  21. 수전 블랙모어, 김명남 역, 밈, 바다출판사, 2010.
  22. T. Dobzhansky, Genetics of the Evolutionalry Process, Columbia Univ. Press, 1970.
  23. 수전 블랙모어, 김명남 역, 밈, 바다출판사, 2010.
  24.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 w.html?idxno=104245
  25. 이동연, "내가 아는 '싸이'에 관한 모든 것", 제72호, 인물비평, 겨울호, pp.307-330, 2012.
  26. 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 newsid=01121766599630600
  27.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실전마케팅학회, "'강남스타일'이 증명한 키치효과", 제11호, pp.65-70, 2012.
  28. 이동연, "내가 아는 '싸이'에 관한 모든 것", 제72호 인물비평, 겨울호, pp.309, 2012.
  29. MBC 스페셜, "싸이 Go, 세계는 강남스타일", 2012
  30. MBC 스페셜, "싸이 Go, 세계는 강남스타일", 2012
  31.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1209 /h20120919213303113100.htm
  32. C. Greenberg, "Avant-Garde and Kitsch," Partisan Review 6, p.38, 1939.
  33. 노형남, "여흥, 모방예술, 관광 브랜딩의 정향변화", 관광연구, 제27권, 제6호, pp.239-258, 2013.
  34. http://www.policymic.com/articles/19339/gang nam-style-what-the-psy-song-means-and-wh y-it-went-viral
  35. L. Shifman, "An Anatomy of a YouTube Meme," New Media and Society, Sage Publications Ltd, 2011.
  36. 장대익, "밈 이론이 제시하는 도발적인 세계관", 한평생의 지식, 민음사, 2012.

Cited by

  1. The Effects of Experiential Value on Brand Equity - Focus on Kitsch Product of Luxury Brands - vol.66, pp.2,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2.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