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myeong Jo-Sik's Practical Social Reformism

남명 조식의 현실적 사회개혁론 - 경(敬)·의(義)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3.11.07
  • Accepted : 2013.11.3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Philosophy of respect righteousness advocated by Nammyung points to what first needs to be done to drive social changes. It is consistent with the Confucianism, which views the world from within oneself. After all, developing a proper view of the society starts from looking at oneself in the right perspective. The view that personal cultivation can develop into cultivation and eventually reform of the entire society is also present in Confucius' belief that one can only be at peace after disciplining oneself and observe good manners only after perseverance. Also, one can lead the world in peace only after disciplining one's body and mind.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where they belong to are not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Rather, individuals gather to create a society and righteous individuals are the basis for righteous society. These principles of social system in Confucianism can be understood as a mutual or layered division and integration. The society is not conflicted with individuals or the nation but rather perceived as moral communities to co-exist. Hence, power of execution observed in the philosophy of respect and righteousness by Nammyung is identical to power of execution applied to the society. The power of execution shows up as 'the execution of righteousness' in Nammyung's philosophy of respect and righteousness. It is also demonstrated in the acts by Nammyung's disciples when the nation was at crisis. This is what differentiates Nammyung's new-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from Toegye or Yulgok as he tried to deliver 'the execution of righteousness.' It does not mean that neo-Confucian scholars did no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xecution, but Nammyung, in particular, warned how deceitful ideological or inner-directed thinking can be since they fail to come up with concrete solutions to social issues. In summary, Nammyung's moral discipline and training based on respect and righteousness cannot be evaluated in a state of vacuum separate from social and historical aspects but under the context of enlightening virtue and social execution. This can draw the conclusion that Nammyung's execution of respect and righteousness is in the starting point of the realistic 'theory of social reform' for creating a better world.

남명의 경(敬) 의(義)철학은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 가는데 가장 먼저 실행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제시해 주고 있다. 이러한 점들은 유학에서 지향하는 자신에서부터 출발하여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상통한다. 사회의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는 것 또한 스스로를 먼저 바로 보는 것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개인의 수양은 곧 사회 전체의 수양, 사회의 개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맥락이 전제되는 것은, 유학에서 말하는 '수신(修身)'에서 출발해 '평천하(平天下)'로 가는 길, '수기(修己)'이후에 '안인(安人)'이 되고, '극기(克己)'이후에 '부례(復禮)'가 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개인과 사회를 분별하지 않고, 개개인의 모습이 모여 사회가 이루어지고, 개인이 바로 설 수 있을 때 사회도 바로 설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유학의 사회체계의 원리는 상호적, 또는 층차적 분화와 통합의 원리로 이해할 수 있다. 사회를 개인 혹은 국가와 대립시키지 않으며, 같이 이루어나가는 도덕 공동체로 인식하는 것이다. 따라서 남명에 있어서 경(敬) 의(義)철학이 가지는 실천성은 그것이 적용되는 사회의 실천성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천성이 남명의 경(敬) 의(義)철학에서 '행의(行義)'의 개념으로 나타난다. '행의(行義)'는 후에 그의 문도들이 국가적 위기에 보인 행동으로 입증된다. 이 점에서 그는 퇴계나 율곡과는 다른 또 하나의 조선조 성리학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행의(行義)의 사회적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어느 성리학자나 실천성을 강조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남명은 특히 현실의 당면 문제에 구체적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관념적, 내면 지향적 사유가 갖는 기만성을 경고한다. 결과적으로 남명의 경의(敬義)를 바탕으로 한 도덕적 수양과 단련은 사회 역사적 장과 상관없는 진공상태에서 평가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경세적 공효 내지는 사회적 실천의 맥락에서만 평가될 수 있다고 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남명의 경의(敬義)의 실천이 지금보다 더 나은 사회를 구현하고자 하는 지극히 현실적인 '사회 개혁론'의 출발점에 서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