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egye's Self-Cultivation and It's Meaning

퇴계 공부론의 실제활용과 그 의의

  • Received : 2013.11.01
  • Accepted : 2013.11.3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oegye placed great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quiet-sitting. His idea of quiet-sitting, like Zhu Xi's, had various therapeutic effects as well. This can be highlighted as a real-life practice and a diverse application of the "abiding by Gyong" that he stressed; it is also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of physical diseases, composure in the mind, the benefits of reading, meditation in solitude, and many other areas. And We can easily infer that T'oegye would have set some premises before referring to Hualin Simbang. First, he would have been wary of quiet-sitting being the goal of cultivation: Too much obsession with and emphasis on Toinsul would actually obstruct the practice of "abiding by Gyong" and mislead one's effort for the "preservation and nourishment of the mind" and "reflection and examination." T'oegye would have probably used the physical and breathing exercises in Hualyin Simbang mainly as a reference to treat his physical illnesses. Also, his Toinsul would have been employed independently and partially as a sort of supplementary practice-without being used in parallel with quiet-sitting as one of the methods to achieve reverent seriousness.

퇴계의 거경 공부는 정좌와 독서라는 실제적인 방법 속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발현되었다. 그는 주자에 비해 정좌의 형식을 더 중시했는데, 그 중에서도 위좌(危坐)의 형식이 더욱 강조되었다. 정좌와 독서는 퇴계가 가장 즐겨 행한 실천 방법이었다. 그러나 정통 주자학의 입장과 다르지 않게 퇴계는 정좌와 독서가 하나의 목적이나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다. 공부의 궁극적인 목표는 나 자신의 편벽된 기질을 변화시키고, 의리를 궁구하고 마음을 함양하며, 사물을 대하는 데 있어서 절도에 맞게 행동하는 것이었다. 이밖에 퇴계는 심신의 수련과 치료, 그 중에서도 특히 육체의 질병을 치료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차원에서 부분적으로 도인술을 활용했다. 퇴계의 기록들로 볼 때, 그는 적어도 안마법과 호흡법에 정통했다고 말할 수 있다. 퇴계의 공부론은 주자 공부론에 비해 형식적인 면이 강조된 측면이 있고, 거경의 공부가 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 적용된 측면이 있으며, 도인술과 같은 비정통적 공부론을 배격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도입하여 보완적인 요소로서 활용한 데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외국어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