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randson contained in Mukjae Lee Mun Geon's 『Yangarok』

묵재(默齋) 이문건(李文楗)의 『양아록(養兒錄)』에 나타난 조손(祖孫) 갈등(葛藤)에 대한 일고(一考)

  • 정시열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3.02.26
  • Accepted : 2013.03.22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is study takes as its text "Yangarok", the record written by Mukjae Lee Mun Geon (1494-1567) about his grandson rearing and examines the conflicts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randson. The reason it is focused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randson particularly among many aspects of Yangarok is that the paper notices the dual feelings of love and hatred lying in the mind of Mukjae,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Because the record of grandson rearing plainly reflects the dual elements of the grandfather, love and hatred, expectation and disappointment, and hope and resignation, it shows the acute conflicts between the two persons well. At the time of the grandson's birth, Mukjae went through a gloomy period both in family and socially. He had to taste tremendous frustration in the status as an exile pushed back from the center of the political world, and his only son was handicapped, so he could not expect his caring after that. Spending each day in such frustration, he faced the birth of his grandson just like a miracle. However, the excitedness and expectation he had in the beginning of the child raising were turned into disappointment and complaining as time went by. His change lets us think about the distance between love and hatred existing in human relations. This study analyzes Yangarok but is focused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randson for further discussion, so it attempts to understand Yangarok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irst of all, Chapter 2 of this article notices the fact that cause results in effect and examines the ultimate factors raising grandfather-grandson conflicts. Next, Chapter 3 considers the concrete aspects of grandfather-grandson conflicts. Based on the above examination on the causes and aspects of the conflicts, Chapter 4 focuses on the value that Yangarok has as the material for introspection and lays the ground to think about the messages that this record implies for contemporaries.

"양아록(養兒錄)"은 묵재(默齋) 이문건(李文楗)(1494-1567)이 손자를 양육하면서 남긴 기록물이다. "양아록"의 저자인 이문건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자발(子發), 호는 묵재(默齋), 휴수(休?)이다. 그는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사화와 을사사화를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경북 성주에 20여 년간 유배되었다가 결국 그곳에서 생을 마쳤다. 16년간의 기록인 "양아록"은 크게 3단 구성을 보인다. 먼저 제1단에서는 묵재 본인의 자서(自序)와 손자 출생 시의 기쁨을 담은 율시 한 수, 출생 당시의 상황과 개명(改名)에 대해 언급한 산문 한 편, 성주 목사와 조카 이섬(李?)이 보내준 축시가 등장하며, 제2단에서는 본격적인 양아의 내용을 35제의 시로 담아냈다. 그리고 마지막 제3단에서는 음주에 대한 경계, 가족에 대한 소개, 세계(世系), 축원문, 자신의 성품에 대해 자책하는 글로 마무리 했다. 본고에서는 "양아록"에 나타난 조부와 손자의 갈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양아록"의 여러 측면 가운데 유독 조손 간의 갈등에 초점을 둔 것은 서술의 주체인 묵재의 마음에 자리한 애증의 양가감정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양아록"에는 묵재의 심리적 추이가 잘 나타나 있는데, 특히 손자에 대한 사랑과 기대가 갈등과 실망으로 이행되는 모습을 보노라면, 인간관계에 존재하는 애증(愛憎)의 거리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연구 목적에 맞는 정확한 논의를 위해 제2장에서는 조손 갈등의 근본적 발생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조손 갈등의 구체적 양상에 대해 고찰했다. 갈등의 원인과 양상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제4장에서는 성찰의 자료로서 "양아록"이 현대인들에게 주는 전언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영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