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ucian philosophy on social welfare

유교의 사회복지 정신

  • 김기현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 Received : 2013.01.17
  • Accepted : 2013.01.29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It seems that it is hard to find the idea of social welfare from Confucianism if we consider it as feudalism. However, there is plentiful source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and social philosophy in Confucianism. It is the matter of how we understand Confucianism. This paper tries to look over the misunderstandings of Confucianism, and find out its essence from the view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and social philosophy. We could elicit the philosophy of social welfare from the series of work. Confucianism contains the idea of communalism on a view of human being. It means that he is born to be communal, not individual. Therefore it regards individualism as a vice. This let us conjecture the fact that Confucianism has different philosophy of welfare from the western culture which is based on the individualism. It will make us reflect upon the problems caused by individualism nowadays. Confucianism concentrates on the spiritual welfare no less than material welfare. If we state the word "welfare" differently into "happiness", Confucianism regards that the real happiness comes from the spirit, not matter. The spirit aims to realize moral value such as love, righteousness, and courtesy. Therefore Confucianism's philosophy of welfare ideally aimed the society that morally harmonized among people. The ideal of family-minded society was what it tried to realize.

유교를 봉건사상으로만 여기는 한 우리는 거기에서 사회복지 정신을 말하기가 어려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유교에서 풍부한 인간학과 사회철학을 알게 되면 사정이 달라진다. 문제는 우리가 유교를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달려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먼저 그 동안 유교가 어떻게 오해되어왔는가를 살피고, 이어 인간학과 사회철학적 관점에서 유교의 본질을 밝히려 한다. 우리는 거기에서 유교의 사회복지 철학을 추출해낼 수 있다. 유교는 공동체적인 인간관을 토대로 갖고 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적(사회적)인 존재로 태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개인주의를 일종의 '악덕'으로 여긴다. 이는 유교가 개인주의에 토대를 둔 서양과 다른 복지철학을 갖고 있음을 추측케 해준다. 그리하여 그것은 개인주의가 많은 문제점으로 노정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되돌아보게 해줄 것이다. 유교는 물질복지를 중시하지만, 그것도 궁극적으로는 정신복지를 지향한다. 복지를 행복이라는 말로 바꾸어 말한다면, 유교는 진정한 행복이 물질이 아니라 정신에서 나온다고 생각한다. 그 '정신'은 사랑, 의로움, 예절 등 도덕가치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그리하여 유교의 복지정신은 사람들이 도덕적으로 조화롭게 살아가는 사회를 이상으로 꿈꾸었다. 그것이 실현하고자 했던 가정적 사회의 이상이 이를 잘 말해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전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