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comes and Tasks of the Research on Weathering pitsin Korea - The Case of Tafoni and Gnamma -

한국의 풍화혈 연구 성과와 과제 - 타포니·나마를 중심으로 -

  • 박지선 (동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 권동희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3.12.09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results of published studies of weathering pits in Korea focusing on tafoni and gnamma and it suggests new types of weathering pits and next subjects through the analysis. 34 papers, published between 1978 and February 2012, have been analyzed and the following are details of the analysis. In terms of the study results, weathering pits are commonly developed on coarse-grained rocks such as granite, but also found on various rocks. Multiple reasons including mechanical, chemical and salt weathering create weathering pits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geological structure. Weathering pits are classified as tafoni and gnamma but the forms have not been verified. In the future, quantitative analysis must be conducted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creation, forms and development of weathering pits.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풍화혈 연구들 중 타포니와 나마를 중심으로 연구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풍화혈의 유형 및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978년부터 2012년 2월까지 발표된 논문 34편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성과의 측면에서 보면, 풍화혈은 주로 화강암과 같은 조립질 암석에서 발달하지만 응회암과 편암 등의 다양한 암석에서도 발달하며 내륙산지와 해안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성인은 기계적 화학적 풍화와 염풍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지질구조와 연관성이 높다. 유형 구분은 타포니와 나마를 각각 분류하였지만 형태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연구 방법은 초기에는 정성적인 분석에 치우쳤으나 90년대 후반부터 계량적인 방법이 시도되었다. 앞으로는 풍화혈의 발달과정 및 형태 그리고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무엇인지 암석의 구성광물, 풍화율, 수분과 염의 영향, 지리적인 위치에 따른 요인 등에 대한 연구가 정량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