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gional Patterns of Income and Urban-Rural Disparity in China: Hypothesis Testing of Williamson and Amos

중국의 소득 및 도·농간 지역격차 패턴에 관한 연구 : Williamson과 Amos의 가설검증

  • Kim, Jong-Sup (Dept. of Regional Econom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ang, Hun (School of Regional Econom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Zhang, Rui (School of Regional Econom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종섭 (강원대학교 지역경제학과) ;
  • 장훈 (강원대학교 대학원 지역경제학과) ;
  • 장예 (강원대학교 대학원 지역경제학과)
  • Received : 2013.11.15
  • Accepted : 2013.12.14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pattern of regional disparities on the level of development in China's eastern, central, western and northeast regions for the period 1978-2012. To do this, it test Williamson's inverted-U hypothesis and Amos' augmented inverted-U hypothesis, focusing on polarization, polarization reversal, and spatial restructuring.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In the absolute economic disparity(AED) models of per capita income within a region, the Williamson's inverted-U hypothesis was supported in the eastern region, central region and inter-region model. The central region and the western region supports Williamson's hypothesis in the case of the relative economic disparity(RED). On the other hand, The inter-region model and the western region supports Amos' augmented inverted-U hypothesis in model of per capita income. In the urban-rural income economic disparity model, the inter-region model of AED and the central region of RED supports Amos' augmented inverted-U hypothesis. But the Williamson's inverted-U hypothesis was supported in the inter-region model and the western region in RED.

본 연구의 목적은 1978-2012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중국의 동부지역, 중부지역, 서부지역 그리고 동북지역을 대상으로 이들 지역이 성장함에 따라 나타나는 지역격차의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Williamson의 역U자형 가설과 Amos의 발전된 역U자형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역이 역분극화 과정에 있는지 아니면 발전된 역분극화 과정에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지역내 인당 절대적 경제격차모형에서는 동부지역, 중부지역, 서부지역과 지역간 모형 그리고 상대적 경제격차모형에서는 중부지역과 서부지역이 Williamson의 역U자형 가설이 지지되었다. 반면 지역간 모형과 서부지역은 Amos의 발전된 역U자형 가설이 지지되었다. 한편 도 농격차를 기준으로 한 모형에서는 절대적 경제격차의 지역간 모형과 상대적 경제격차의 중부지역은 Amos의 발전된 역U자형 가설이 지지되었고, 지역간 모형과 서부지역은 상대적 경제격차모형에서 Williamson의 역U자형 가설이 지지되어 이들 지역은 역분극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중국이 지역에 따라 역분극화 과정이 있는 지역도 있고 성장에 힘입어 공간적 재구조화가 진행되는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