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재지도교사, 영재학생 및 학부모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Scienced-Gifted Education, Science-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about Science and Scientist

  • 투고 : 2013.08.24
  • 심사 : 2013.10.26
  • 발행 : 2013.10.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 및 그 학부모의 과학에 대한 인식과 과학자에 대한 외적, 내적 이미지 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교육지원청 초등과학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의 영재지도교사 34명, 영재학생 222명, 학부모 107명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인식 검사와 과학자 이미지 검사(Draw-A-Science-Test)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세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생들은 학부모나 교사에 비해 과학과 사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으며, 과학공부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에 비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과학자에 대한 외적 이미지에 있어서 세 집단 모두 정형화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과학자의 내적 이미지에 있어서는 정서적 윤리적 측면보다 인지적 측면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 중 근면성, 상상력, 타인 염려, 의견 존중, 재미, 예술 감각, 인간 존중, 평화 등의 영역에서 학생들의 인식이 교사나 학부모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출처로 영화, 과학 잡지, 위인전 등에서 세 집단 모두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나, 각 집단별 응답 비율이나 경향성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n science and scientists of the teachers who are engaged in the special education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science-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For this study, 34 teachers, 222 students and 107 par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of the perception on science and Draw-A-Science-Test (DA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three groups generally had a sound recognition but the score of recognition about a 'nature of science' was lower than other domains. The science-gifted students had less cognition about 'science and society' than their teachers and parents, but they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science learning' than their parents significantly. All of the three groups had the stereotyped image of scientist. About the internal images of scientists, three groups had a similar perception, and they showed higher scores in the cognitive aspect than emotional or ethical aspects. And the science-gifted students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ir teachers and parents in diligence, imaginative power, concern about other people, respect for other's opinion, humor, artistic sense, respect for human, desire for peace. Three groups turned out to be influenced by movie, science journal, and biography as a source of scientist's image, but their contribution was different among group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2. 권난주 (2005).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과 관련된 경험 및 배경 조사. 초등과학교육, 24(1), 59-67.
  3. 김성관, 장명덕, 정진우 (2002). '과학자와의 만남'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신체적 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90-498.
  4. 김성원, 최성연 (2002). 초등학교 과학 영재교육원 학생의 부모와 일반 학생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활동 지원 정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71-681.
  5. 김소형 (2004).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학생과 과학영재반 학생의 인식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6. 김용진 외 10인 (2011).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 과학교육 이야기. 서울: 북스힐.
  7. 박혜원, 김윤주 (2009).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특성. 영재교육연구, 19(3), 433-456.
  8. 송진웅 (1993). 교사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존경하는 과학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48-55.
  9. 송진웅, 박승재, 장경애 (1992). 초중고 남녀 학생의 과학수업과 과학자에 대한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109-118.
  10. 안미정, 유미현 (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영재교육연구, 22(3), 527-550.
  11. 여상인 (1998). 변형된 DAST와 인터뷰를 이용한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자가 하는일에 관한 초․중등 학생의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17(1), 1-10.
  12. 이수진, 심봉섭, 정진수, 강상순, 백성혜, 이경화, 천재순 (2008). 초등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활동 지원 정도 분석 연구. 초등과학교육, 27(3), 296-306.
  13. 이형철, 김찬기, 강수희 (2002). 초등학교 과학 영재반과 일반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비교 연구. 부산교대 과학교육 연구, 27, 239-254.
  14. 임희준, 여상인 (2001).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조사. 영재교육연구, 11(2), 39-57.
  15. 임성만, 임재근, 최현동, 양일호 (2008). 초․중․고학생과 예비 교사 및 초등 교사가 생각하는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분석. 초등과학교육, 27(1), 1-8.
  16.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11).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7. 주은정, 이수영, 김재근, 이지영 (2009). 초등학교 3학년의 과학자와 과학 학습에 대한 이미지 분석. 초등과학교육, 28(1), 35-45.
  18. 전증욱 (1984). 중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 최순실, 김복순, 한석실 (1995). 자녀의 영재성과 영재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조사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240-240.
  20. 최연지 (2011). DAST를 활용한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자와 과학에 대한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21. 한명순 (1999).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및 선호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2. Ablard, K. E., & Parker, W. D. (1997). Parents achievement goals and perfectionism in their academically talented childre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6(6), 651-667. https://doi.org/10.1023/A:1022392524554
  23. Bausell, R. B. (1994). Conducting meaningful experiments: 40 steps to becoming a scientist.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24. Bodzin, A., & Gehringer, M. (2001). Breaking science stereotypes. Science and Children, 38(4), 36-41.
  25. Chambers, D. W. (1983). Stereotypic image of the scientist: The draw-a-scientist test. Science Education, 67(2), 255-265. https://doi.org/10.1002/sce.3730670213
  26. Cho, S. H., & Yoon, Y. H. (2005). Family processes ad psychosocial problems of the young Korean gifted.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27(2), 245-261. https://doi.org/10.1007/s10447-005-3184-4
  27.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ition. Boston: Pearson Education.
  28. Finson, K. D., Beaver, J. B., & Cramond, R. L. (1995). Development of a field test of a checklist for the draw-a-scientist-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4), 195-205.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5762.x
  29. Quita, I. N. (2003). What is a scientist? Perspectives of teachers of color. Multicultural Education, 11(1), 29-32.
  30. Schibeci, R. (2006). Student images of scientists: What are they? Do they matter? Teaching Science, 52(2), 12-16.
  31. Sjoberg, S. (1988). Gender and image of science.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2(6), 49-60. https://doi.org/10.1080/0031383880320201
  32. Solomon, J., Cardoso, M. L., Educacao, E. S., & Branco, C. (2002). Studies of Portuguese and British primary pupils learning science through simple activities in the hom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 47-60.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49079
  33. Stickelmaier, L. (2007).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found to shape performance outcomes. The Daily Vidette. Illinois State of University.

피인용 문헌

  1. Perceptions and Image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on Scientists studying Small Organisms vol.33, pp.4,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4.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