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수학 영재의 다중지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개인성향의 차이

Differences among Sciences and Mathematics Gifted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ersonal Traits

  • 투고 : 2013.07.12
  • 심사 : 2013.10.26
  • 발행 : 2013.10.31

초록

본 연구는 2011년도 광역시 소재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수학 및 과학영역별 중학교 1, 2학년 89명을 대상으로 영재의 특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중지능, 자기조절학습능력, 개인성향 조사지를 실시하였으며, 교과영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과학영재와 수학영재 모두 자기이해지능이 강점지능으로 나타났으며 논리수학지능이 약점지능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역별로 물리영재와 지구과학영재는 공간지능이 강점지능으로 나타난 반면 화학영재와 생물영재는 자기이해지능이 강점지능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경우, 수학영재와 과학영재는 선행연구결과의 일반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교과영역에 상관없이 인지전략과 동기전략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과학영재와 수학영재의 개인성향은 교과영역에 상관없이 개별 특성이 다양하여 광범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정지능에서 강점을 보인 학생들 사이에서도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개인성향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수학영재는 자기이해지능이, 과학영재에서 물리와 지구과학은 공간지능이, 생물과 화학은 자기이해지능이 강점지능으로 나타나는 특징이외에는 교과영역에 따른 차이보다는 개인별 다중지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개인성향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The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y in terms of multiple intelligence, self-regulated learning and personality traits. The 89 subjects in the stud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f multiple intelligenc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 personality trait in October, 2011. It was found that both science and math gifted students presente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s strength and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s weakness. While physics and earth science gifted ones showed spatial intelligence as strength, chemistry and biology gifted ones did intrapersonal intelligence. Fo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oth science and mathematics gifted students tend to show higher levels than general students, in particular, cognitive and motivation strategies comparatively higher than meta-cognition and environment condition strategies. Characteristics of personal traits widely distributed across science and mathematics gifted students, showing that each gifted student presented distinct characteristics individually. Those gifted students showing certain intelligence such as spatial, intrapersonal, or natural intelligences as strength also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ersonal traits among students showing same intelligence as strength. It was concluded that science and mathematics gifted students show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multiple intelligence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ersonal traits across science and mathematics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순옥, 서혜애 (2011).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과학의 탐구능력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 특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5, 307-323.
  2. 류성림 (2010). 초등 수학영재와 학부모의 다중지능에 관한 비교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4(3), 807-830.
  3. 서혜애, 장수명, Pereira-Mendoza, L. (2004). 초․중등 우수학생 이공계 진출을 위한 과학교육정책 방안 수립 연구. RR 2004-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서혜애 (2009). 과학영재교육원 생물반 중학생들의 특성. 영재교육연구, 19, 457-476.
  5.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여상인, 허정순, 최선영 (2010). 초.중등 수학.과학.정보 영재의 다중지능 비교. 국제과학영재학회지, 4(1), 1-8.
  7. 윤경미, 유순화 (2008a). 과학영재, 인문사회영재, 일반중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청소년학연구, 15(5), 287-313.
  8. 윤경미, 유순화 (2008b).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다중지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상담학연구, 9(2), 517-536.
  9. 윤초희, 정현철 (2006).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전략 및 탐구수업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0, 321-339.
  10. 이신동, 유미선, 최병연 (2008).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간의 학업성패에 대한 귀인성향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18(3), 425-442.
  11. 이재무, 이경현, 이지항 (2010). 체육영재, 학업영재, 일반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정서지능 특성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19(4), 609-622.
  12. 정미경 (2003).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검사 개발. 교육학연구, 41(4), 157-182.
  13. 정미선 (2008). 10학년 과학생명 단원 실험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이 과학적 태도 및 탐구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3), 363-375.
  14. 정은숙, 안도희 (2009). 웹기반 과학 수업 방법과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과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2, 281-305.
  15. 정현철, 조석희, 서혜애, 신명경 (2004). 영재의 자율연구능력 기초탐색연구. 수탁연구 CR 2004-4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6. Amstrong, T. (2004). 다중지능과 교육 [전윤식, 강영심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원본출간년도: 1994).
  17. Chan, D. W. (2006). Perceived multiple intelligences among male and female Chinese gifted students in Hong Kong: The structure of the student multiple intelligences profile. Gifted Child Quarterly, 50(4), 325-338. https://doi.org/10.1177/001698620605000405
  18. Gardner, H. (1998).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김명희, 이경희 역]. 서울: 양서원. (원본출간년도: 1993).
  19. Gardner, H. (2007). 다중지능 [문용린, 유경재 역]. 서울: 웅진 지식하우스. (원본출간년도: 2006).
  20. Jacobsen, M. (1999). The gifted adult. New York: Ballantine Publishing Group.
  21. Vanderstoep, S. W., Pintrich, P. R., & Fagerlin, A. (1996). Disciplinary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college student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1, 345-362. https://doi.org/10.1006/ceps.1996.0026
  22. Virtanen, P., & Nevgi, A. (2010). Disciplinary and gender differences among higher education students i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Educational Psychology, 30(3), 323-347. https://doi.org/10.1080/01443411003606391
  23.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https://doi.org/10.1037/0022-0663.8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