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isharena Development Policy in Japan

일본의 피셔리나 정비사업에 대한 한 고찰

  • 서금홍 (동아대학교 건축학과) ;
  • 오용식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무역경제학부)
  • Received : 2013.08.13
  • Accepted : 2013.09.27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Illuminating Japanese Fisharena Development Policy, we tried to find out some implications on the utilization of fishing port facilities as a way to accommodate uprising marine leisure demands of Ko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concentrated i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Japanese Fisharena Development Policy can be functionalized in Korea as a means of policy, but for the intervening difference of demand situation, precise forecasting on the marine leisure demands has to be preceded and Fisharena should be prepared as a supply buffer. Secon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Fisharena, Software side is important as well as Hardware side.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utilizing civil organizations is necessary to bring down the wharfage of Fisharena to not suppress the marine leisure demands. Third, selection of the fishing port and decision of the development scale are additional important points. In particular, preferential consideration of utilizing inner-city fishing ports as small-scale Fisherinas to address the marine leisure demands would be desirable in Korea.

본고는 일본의 피셔리나 정비정책을 조명함으로써 이제 발흥하려는 우리나라의 해양레저 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어항시설의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발굴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졌으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 전개되고 있는 피셔리나 정비정책은 우리나라에도 유용한 정책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해양레저수요에 대한 엄밀한 예측이 선행되어야하며, 피셔리나는 그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피셔리나의 정비에 있어서는 하드웨어적 측면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적 측면 역시 중요하다. 또한 레저보트 보유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계류시설 사용료를 낮추기 위해 피셔리나 시설의 정비와 운영에 민간 조직의 활력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피셔리나를 어떠한 어항에 어느 정도의 규모로 정비할 것인가는 또 하나의 중요한 포인트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도시형 어항을 우선적으로 활용하여 피셔리나를 정비, 해양레저의 수요에 대응하는 작은 거점들로 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제1차(2010-2019)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41호, 2010.
  2. 김성국, "우리나라 마리나 발전방안에 관한 일고찰", 해양비즈니스, 제15호, 2010, 27-57.
  3. 김성귀.홍장원, 다기능 어항에서의 마리나 조성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4. 서금홍․김재봉․오용식, "부산지역 도시형 어항의 정비방향 : 이해관계자의 정비수요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4, No.6, 2010, 493-501.
  5. 양영철․이재형, "한국과 일본의 어촌․어항법 분석과 피셔리나 개발방향",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6권 제1호, 2012, 81-87.
  6. 오용식․서금홍․김재봉, "도시내부입지형 어촌.어항의 정비 방향에 관한 고찰 - 중부산지역 어업인과 시민의 인식 격차를 중심으로", 해양정책연구, Vol.23, No.2, 2008, 1-31.
  7. 옥영수, "어항의 기능변화와 피셔리나의 개념", 어항, 통권41호, 한국어촌어항협회, 1997. 49-52.
  8. 이승우․홍장원․한광석, 수산시설의 관광자원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9. 이종훈, "기존 어항과 항만을 활용한 해양레저기반 조성에 관한 연구", 2012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 214-216.
  10. 황철민․장병상․남광훈․이창수, "마리나항만의 조성과 어항개발계획", 어항어장, Vol.4-2, 2010, 35-40.
  11. 홍장원, "공공 마리나의 조성과 서비스시설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2012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 211-213.
  12. 해양수산부, 해양수산통계연보, 각년도.
  13.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14. 해양수산부, 2013년 업무추진계획(http://www.mof.go.kr/)
  15. 財団法人 関西交通経濟研究センタ一, 小型舟艇を活用した海洋レジャ一振興のためのシステム作りに關する調査研究, 2011.3.
  16. みずほ總合研究所, "指定管理者制度に見る 官業の民間解放の現狀と課題", みずほレポート, 2006.11.
  17. 宮田政司, "性能設計体系に對応したマリ一ナ等施設設計の基本的考え方", 日本國土技術政策總合研究所資料, No.504, 2009.1.
  18. 渡會英明, "マリ一ナの立地需要予測モデルの研究", 土木計畵學研究論文集, No.12, 1995.8.
  19. 일본 국토교통성, 平成22 年度プレジャーボート全國實態調査, 2011.8.
  20. 일본 국토교통성, プレジャーボートの適正管理及び利用環境改善のための總合的對策に関する推進計畵, 2013.5.
  21. 일본 농림수산성, 漁業/養殖業 生産統計, 각년도.
  22. 일본 수산청, 小規模PFIを活用した漁港における放置艇収容用簡易保管施設整備マニュアル作成, 2008.
  23. 일본 수산청, 漁村の現狀と課題, 2009.3
  24. 일본 수산청, 漁港.漁村の付加価値向上に關する基礎調査, 2009.3.
  25. 일본 수산청, 漁村振興に係る事業制度の概要, 2009.5.
  26. 일본 수산청, 水産基本計畵, 2012.3
  27. 일본 수산청, 漁港港勢調査, 2012.
  28. 일본 수산청, 漁船統計表, 각년도.
  29. 일본 수산청, 水産白書, 각년도.
  30. 일본 항만협회, 数字で見る日本の港湾, 각년도.
  31. 이츠카이치피셔리나 이용자의 모임(http://www.geocities.jp/kennnohuseiwotadase/)
  32. 우미노에키 홈페이지(http://www.umi-eki.jp/)
  33. 四國新聞, 2001.7.23.(http://www.shikoku-np.co.jp/)
  34. 사단법인 일본마린사업협회(http://www.marine-jbia.or.jp/)
  35. 일본 소형선박검사기구(http://www.jci.go.jp/)
  36. 일본 수산청, 2012年 水産關係 豫算決定の槪要(http://www.jfa.maff.go.jp/)
  37. 일본 수산청 정책평가정보(http://www.jfa.maff.go.jp/)
  38. 일본 전국어장어항협회(http://www.gyokou.or.jp/)
  39. 일본 회계검사원 결산검사보고 데이터베이스(http://report.jbaudit.go.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