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Marina Port for the Expansion of the Marine Leisure Sports

해양레포츠 확산을 위한 마리나항만 개발과 활성화 전략

  • 김홍섭 (인천대학교 동북아경제통상대학 무역학부)
  • Received : 2013.02.19
  • Accepted : 2013.03.29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In this world, the interest in the marine leisure-sports, nature friendly oriented, has been increased. The width of leisure activities has became enlarged because of expansion of leisure time and the changes of recognition on the rational management and use of marine resources. Marina ports influence significantly marine leports and this paper reviewed the maria ports status and problems. This Country has strived to develop marina ports in local areas, designing the 1st basic National Plan of Marina Development. We have keen interest in Marina but have no detail strategy and preparation. This paper suggested how marina port shall be developed for the expansion of marine leports and what strategies shall be adop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facilities. After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es and with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this paper suggested two types strategies. First on the policy oriented point, it suggested 10 alternatives on the perspectives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areas. Secondly, it proposed some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marina ports on the aspects of 4Ps of marketing. This paper theoretically groped the activation schemes with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experts, but it is recommended furthermore some survey on the practical field and user attitude must be progressed.

세계는 자연친화적인 해양레저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해양자원의 합리적인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인식변화와 국민들의 여가시간 증가로 인한 레저활동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이런 해양레포츠에 마리나항만은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본 연구는 마리나항만에 대하여 실태와 과제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이제 마리나항만의 개발을 위한 1차 기본계획을 세우고 각 지역마다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 현실은 마리나에 대한 관심도는 높으나 정작 마리나 시설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 대안과 준비는 소홀한 실정이다. 해양레포츠를 전략산업으로 지정하여 마리나항만 개발과 연계하거나 해양레저산업단지를 구축하는 등의 거시적 정책도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해양레포츠의 확산을 위해 마리나항만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개발하며, 그 시설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어떤 전략이 요구되는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마리나항만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활성화 전략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먼저 정책적 측면에서 관련 법과 제도 등을 고려한 활성화 방안으로 개발 및 운영측면으로 각각 5개 대안을 제시하였다. 다른 측면으로는 마리나항만 서비스를 마케팅의 4Ps로 파악하고 이를 활성화하는 전략대안으로 Product(제품), Price(가격), Place(유통), Promotion(촉진)으로 구분하여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 충분이 확대되지 않는 마리나항만의 활성화 대안을 전문가들의 지식과 경험 등을 토대로 이론적으로 탐색하였으나, 현장의 실천적 조사와 이용자의 태도 등을 근거로 한 심도 있는 연구들이 향후에 더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제1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2010.
  2. 김성국, 이동현, "우리나라의 마리나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비교연구", 해양비즈니스, Vol.- No.20, 2011.
  3. 김성귀, "항만 내 마리나 개발 방안", 해운물류연구, 제25권 제1호(통권60호), 2009.
  4. 김성귀․홍장원, "기본연구 : 다기능 어항에서의 마리나 조성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2007.
  5. 김운수, "해양레저 시대를 대비한 마리나항 구축방안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2011.
  6. 김홍섭, "크루즈산업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전략에 관한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008.
  7. 김홍섭,"우리나라 해양문화의 도입과 확장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010.
  8. 네이버 지도검색, 대한마리나산업진흥회, 2011.
  9. 목진용.박용욱, "해양레저사업의 법제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2.
  10. 목진용, "해양레저사업의 법제 개선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2.
  11. 박명국, "스포츠 소비자 행동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 해양 레저 스포츠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2. 박철수,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해양레저스포츠 발전과제", 2006년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3. 백광, 남동현, "해양 스포츠 관광산업의 개념정립과 그 필요성에 대한 소고",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0 No.1, 2001.
  14. 백승헌, "해양스포츠관광 선택 속성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5. 산업연구원, "해양레저장비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기본전략 수립 및 지원방안 강구", 2003.
  16. 서동환, "경인지역 마리나시설이 해양스포츠 참가와 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 체육학 박사학위논문, 2010.
  17. 서동환.김우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3 No.1, 2010.
  18. 서동환, 김우성, 유흥주, "경인지역 마리나 시설이 해양스포츠 참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40 No.2, 2010.
  19. 유흥주, "조직적 스포츠 참가가 사회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 1998
  20. 이상호, "해양레저스포츠 체험공간의 속성이 참가자의 감정적 반응, 만족, 재참가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 석사학위논문, 2007.
  21. 이종택, "완도 해양 환경특성에 따른 레저스포츠 활용방안", 조선대 석사논문, 2002.
  22. 이진모, "해양레저스포츠산업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9.
  23. 인천발전연구원, "영종도 왕산마리나 리조트 개발방향", 2009.
  24. 임재현, "해양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한.일 해양스포츠 전신기지 비교 분석",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5. 정종석, "해양레저스포츠 발전을 위한 한국형 마리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6. 지삼업, "해양관광 실태한국 해양스포츠 활성화 방안 모색", 부경대학교 논문집, Vol.3 No.2. 1998.
  27. 지삼업, "해양스포츠 대중화를 위한 사회적 환경요인분석". 한국체육학회지 p244, 2003.
  28. 지삼업, 마리나 관리론, 대경북스, 2008.
  29. 지삼업, 마리나 개발 및 운영론, 대경북스, 2011.
  30. 진형민, "서해안지역 해양스포츠관광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구축 방안",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1. 해양경찰청, 2010 해양경찰백서, 2011.
  32. 해양경찰청, 2012 해양경찰백서, 2012.
  33. 해양수산부, 해양 관광 기반 연구, 2006.
  34. Mark Orams, "Maritime Tourism -Development, Impacts and Management," New zealand Tourism Research Institute, 1999.
  35. Perreault, William D., McCarthy,E.Jerome, "Basic Marketing; A Global-Managerial Approach," McGraw-Hill, 2001.
  36. Sidaway, R.,"Marina Development and Coastal Recreation: Managing Growth," Ecos, 12(2), 1991.
  37. ICOMIA(2006), Boating Industry Statistics, World Bank, 2007.
  38. Marc J. Hershmann(ed), Urban and Harbour Management, Taylor & Francis, 1988.
  39. Sung Gwi Kim et. al,, "A Study on Marine Tourism Policies to Upgrade the Marina and Pleasure Boat Industry of Korea: Relevance of the US Experience to Korea," Korea-US Marine Policy Workshop Proceedings pp.4-47,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