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for Stroke Patient

뇌졸중 환자에서 로봇보조치료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 Park, Jin-Hyuk (Dept. of Public Health & Health Care Management in Inje Institute of Advanced Studies)
  • 박진혁 (인제대학원대학교 보건경영학과 작업치료학전공)
  • Received : 2013.12.05
  • Accepted : 2013.12.30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on stroke rehabilitation in upper limbs. Through this comprehensive study, we have to compare the studies. Methods : We systematically examin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 from June 2012 to September 2012, using EMBASE, MEDLINE, etc. 12 studies(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Results : Selected 12 studies were Pedro score 2 or more. The primary outcome measure tools including tools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daily of living were used. Through various intervention, Robot-assisted therapy maximize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effect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functional ability(ADL) by robot-assisted therapy showed significant effect, but no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robot-assisted therapy and conventional therapy groups in term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functional ability. Conclusions : Robot-assisted therapy has been widely used clinically for stroke patients to maximize the effect had been applied to various interventions. Robot-assisted therapy depending on the methods of intervention showed that the effect of difference. In the future study, the use of robot-assisted therapy applied to a variety of interventions is needed on occupational therapy.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서 로봇보조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로봇보조치료에 관한 연구들을 비교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2년 6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외국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EMBASE, MEDLINE등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최종적으로 12개의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12편의 연구는 Pedro score 2~7점까지 다양했으며, 다양한 중재방법을 통하여 로봇보조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많았다. 주된 결과 측정도구로는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도구가 사용되었다. 로봇보조치료의 결과로는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서 향상을 보이나 로봇보조치료군과 고식적인 재활치료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로봇보조치료는 뇌졸중 환자에게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중재방법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중재방법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로봇보조치료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중재방법을 적용하여 로봇보조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