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공간에서의 정치 활동의 특징과 오프라인 환경과의 연계성에 대한 지리적 고찰: 2012년 대통령 선거를 사례로

A Geogra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Activities in Cyberspace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Online and Offline: A case of South Korea's Presidential Election in 2012

  • Park, Sookyung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Sangmyung University)
  • 투고 : 2013.07.26
  • 심사 : 2013.10.17
  • 발행 : 2013.10.31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국민참여서비스, 사이버정당, 시민사회네트워크의 발달과 운동 등으로 구분되는 다양한 사이버정치 활동이 온라인에서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가상공간 안에서의 정치 활동이 오프라인의 환경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 사이버정치 활동을 했던 32명의 20대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일반적인 사이버정치의 형태인 온라인 국민참여서비스의 경우, 온 오프라인에서 모두 정보의 탐색 및 획득은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열려 있는 장소에서 일어나며, 정보의 창출과 재구조화는 안정감과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이 있는 닫혀 있고 지극히 개인적인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사이버정당은 가교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나, 즉각 형성 소멸되는 즉시적 사회공간을 창출하는 데 부분적으로나마 공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민사회네트워크의 발달과 운동을 통해 형성된 온라인 관계는 정치적 성향과 관심에 따라 분절되며, 이는 오프라인에서의 네트워크와 주요 활동장소의 선택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The goal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xamine the matter as to how various cyberpolitical activities such as on-line civic participation, cyber parties, development and movement of civil society networks are appeared in cyberspace; and how political activities in cyberspace are associated with offline environment. This research was based on in-depth and open-ended interviews centering around 20s (32 interviewees) and the major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on-line civic participation, searching political issues occur in places, where internet users can access information easily relatively, and creating or reconstructing political information is identified in places giving stability or affinity to the public society. Second, even though each party's homepage for the channel of cyber parties has enough capacity as bridgespace, which takes charge of supporting f lows of people, goods, capital, and ideas, most of them don't play a role to establish virtual or real networks. Exceptively, cyber parties contribute to make temporalized places, where nobody takes the responsibility, somewhat. Third, the development and movement of civil society networks is divided into several segments according to political interests and tendency in online; furthermore, such a cyberpolitical activity influences human networks and the decision of major places for political activities in offlin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