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Calcium Chloride Concentration on Roadside Ground Cover Plant Growth

염화칼슘 처리농도가 가로변 지피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Lee, Sun-Young (Dept. of Forest Science,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
  • Kim, Won-Tae (Dept.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Cheonan Yonam College) ;
  • Ju, Jin-Hee (Dept. of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Konkuk University) ;
  • Yoon, Yong-Han (Dept. of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Konkuk University)
  • 이선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산림과학과) ;
  • 김원태 (천안연암대학 환경조경과) ;
  • 주진희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 윤용한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Received : 2013.07.04
  • Accepted : 2013.07.24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management and apply it to a roadside ground cover plant understanding the capacity of calcium chloride in the pla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the ratio control group of calcium chloride, 0.5%, 1.0%, and 3.0% in 500g of soil. Plant materials were selected and measured according to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round cover plant, Pachysandra terminalis, Hosta plantaginea, Trachelospermum asiaticum, Vitex rotundifolia, Euonymus japonica and Callicarpa japonica. The acidity of the amended soil was increased gradually depending on the treatment and conductivity was continually decreased. The EX-Ca increased after the treatment, but decreased in the middle of the experiment. Pachysandra terminalis, Trachelospermum asiaticum and Euonymus japonica were able to grow and survive at the ratio of 0.5%. Hosta plantaginea and Vitex rotundifolia were able to survive at the ratio of 1.0%. Hosta plantaginea, the possible state can absorb salts due to moisture and, can be applied to ground cover plants in the roadsid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allicarpa japonica was poor and the leaves were open to grow for calcium chloride treatment except the control group. It was concluded that Callicarpa japonica was very sensitive to calcium chloride.

본 연구는 가로변 지피식물을 중심으로 염화칼슘에 대한 내성과 피해양상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가로변 지피식물 적용 및 관리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실험구 조성은 염화칼슘 비율 대조구, 0.5%, 1.0%, 3.0%로 구분하여 일반상토 500g을 기준으로 고상처리 하였다. 식물재료로는 가로수 지피식물로 가능성이 있거나 사용되는 수호초, 옥잠화, 마삭줄, 순비기나무, 사철나무, 작살나무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정리하면 토양은 염화칼슘 농도처리에 따라 산도가 증가하였으며, 전기전도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치환성 칼슘 함량은 처리 이후 증가하였으나 실험기간 중 감소하였다. 수호초, 마삭줄, 사철나무는 염화칼슘 비율 0.5%까지 생육 및 생존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옥잠화, 순비기나무는 1.0%까지 생존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잠화는 식재 기반의 수분을 통한 염류의 이동이 가능한 조건에서 가로변의 지피식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작살나무는 대조구를 제외한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생육이 불량하고 개엽하지 않아 염화칼슘에 대한 민감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호(2010) 조경조재이용을 위한 자생 상록만경류의 환경 내성 평가.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과학기술부(2006) 조경용 초본 지피식물 개발에 관한 연구.
  3. 국토해양부(2003) 제설에 관한 지침. p. 29.
  4. 김계환, 박종민, 서병수, 윤세억(2007) 토양과 비배관리에 의한 순비기나무의 재배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6): 544-553.
  5. 김권래, 이현행, 정창욱, 강지영, 박순남, 김계훈(2002) 서울시주요도로변 토양오염조사: 강동구, 광진구, 노원구, 서대문구, 성동구 내 주요 도로변 토양.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5(2): 92-96.
  6. 김선화(2007) 입지유형별 가로수, 수목활력도 조사연구: 인천시 중앙공원길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9-12.
  7. 김선희, 성주한, 조재형(2012) 염화칼슘처리에 따른 은행나무와 느티나무의 생장 및 생리 반응 특성.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집 pp. 236-238.
  8. 김주성, 심이성, 김명조(2010) 염 스트레스에 대한 배추의 생리학적 반응. 한국원예학회지 28(3): 343-352.
  9. 농업기술연구소(1988) 토양화학분석법.
  10. 백성주(2012) 생태학적 식재를 위한 내염성 및 내조성 자생수종 선발 : 전남 순천만을 중심으로.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산림청(2002) 수목원 및 생태숲의 효율적인 조성과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
  12. 성주한, 제선미, 김선희, 김영걸(2009) 염화칼슘 처리가 산딸나무 잎의 광합성 기구, 기공전도도 및 형광이미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림 기상학회지 11(4): 143-150. https://doi.org/10.5532/KJAFM.2009.11.4.143
  13. 신성필, 양충헌, 하동수, 백봉기, 차종선(2010) 제설제 추가 비축을 위한 적정량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지 12(4): 21-54.
  14. 신승숙, 박상덕, 조재웅, 이규송(2007) 친환경 제설제가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집 pp. 3794-3797.
  15. 신진호, 허항록, 신정식, 김민영, 신재영(2001) 제설제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16(4): 31-37.
  16. 심명선, 김영재, 이정희, 신창호(2012) 여러 자생식물의 내염성 정도 구명.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21(4): 478-484. https://doi.org/10.12791/KSBEC.2012.21.4.478
  17. 우수영, 이성한, 이동섭(2004) 대기오염 피해를 받은 서울시내 가로수의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 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지 6(1): 24-29.
  18. 이경보, 강종국, Li, J., 이덕배, 박찬원, 김재덕(2007) 간척지토양개량을 위한 내염성 식물의 활용성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0(3):173-180.
  19. 이한철, 강경희, 권기범, 최영하, 김희태(2002) NaCl 스트레스가 토마토, 고추, 가지의생육, 광합성속도및무기양분 흡수에미치는영향.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논집 11(3): 133-138.
  20. 조재형, 성주한, 제선미, 김영걸(2007) 염화칼슘처리에 따른 산벚나무와 산딸나무의생장반응특성. 한국임학회하계학술연구발표회집pp. 249-250.
  21. 천상욱, 박종환(2003) 염분에 대한 콩의 생리학적 반응지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22: 185-191. https://doi.org/10.5338/KJEA.2003.22.3.185
  22. Aghaleh, M., V. Niknam, H. Ebrahimzadeh, and K. Razavi(2011) Effect of salt stress on physiological and antioxidative responses in two species of Salicornia (S. persica and S. europaea). Acta Physiol. Plant 33: 1261-1270. https://doi.org/10.1007/s11738-010-0656-x
  23. Agnieszka, G., M. M. Zdzislaw, P. Rafal, D. Sabina, and M. Artur (2011) The influence of chloride deicers on mineral nutrition and the health status of roadside trees in the city of Kielce, Poland. Environ. Monit. Assess 176: 451-464. https://doi.org/10.1007/s10661-010-1596-z
  24. Askri, H., S. Daldoul, A. B. Ammar, S. Rejeb, R. Jardak, M. N. Rejeb, A. Mliki, and A. Ghorbel (2012) Short-term response of wild grapevines (Vitis vinifera L. ssp. sylvestris) to NaCl salinity exposure : changes of some phys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Acta Physiol. Plant 34: 957-968. https://doi.org/10.1007/s11738-011-0892-8
  25. Chartzoulakis, K., and G. Klapaki (2000) Response of two green house pepper hybrid to NaCl salinity during different growth stages. Sci. Hort. 86: 247-260. https://doi.org/10.1016/S0304-4238(00)00151-5
  26. Izabela, C. K., K. Grzegorz, and D. Mariusz (2004) Effect of deicing salts on urban soils and health status of roadside trees in the Opole region. Wiley Periodicals, Inc. pp. 296-301.
  27. Jones, P. H., B. A. Jeffery, P. K. Watler, and H. Uhtchon (1986) Environmental impact of road salting : state of the art, The resarch and development branch. Ontario 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28. Mehta, P., A. Jajoo, S. Mathur, and S. Bharti (2010) Chlorophyll a fluorescence study revealing effects of high salt stress on Photosystem II in wheat leaves. Acta Physiol. Plant 48: 16-20.
  29. Parida, A. K., and A. B. Das (2005) Salt tolerance and salinity effects on plants, Ecotoxicol. Environ. Saf. 60: 324-349. https://doi.org/10.1016/j.ecoenv.2004.06.010

Cited by

  1. The responses of Growth and Physiological traits of Acer triflorum on Calcium Chloride (CaCl2) Concentration vol.28, pp.5, 2014, https://doi.org/10.13047/KJEE.2014.28.5.500
  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Wood Chip and Peat Moss Based Vegetation Media vol.44, pp.3, 2016, https://doi.org/10.5658/WOOD.2016.44.3.323
  3. Evaluation of relative toxicity caused by deicing agents on photosynthesis, redox homeostasis, and the osmoregulatory system in creeper-type plants pp.2211-3460, 2019, https://doi.org/10.1007/s13580-018-01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