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ow to Change Korean Water Management System? : Focused on Expert's Recognition Analysis

물 관리 행정체계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 전문가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9.10
  • Accepted : 2013.10.10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Climate change asks the government to make changes in water management system. Although water demand is increasing according to urbanization, clean and safe water supply is limited. Therefore efficient water management is one of the key issues. Korean water management system is evaluated inefficient because it is executed by five different ministri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about Korean water management system, analysed present function sharing among 5 ministries, and conducted survey on improvement of water management system. Expert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problem of water policy is the failure of policy coordination among Ministries, and the solution of it is to make a new integral organization or to integrate related functions into one Ministry. Based on them, this study conclude that the central government functions related with water management need to be integrated on a new organization or Ministry of Environment focused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light of preservation instead of development.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의 진전으로 물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반면, 깨끗하고 안전한 물의 공급은 한정됨에 따라, 효율적인 물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물 관리 행정체계는 다부처가 관여하는 전형으로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물과 관련된 업무가 국토부, 환경부, 농림부, 안전행정부, 산업부 등으로 분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물 관리와 관련된 주요 업무의 조정과 통합이 어렵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물 관리 행정체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핵심쟁점을 도출하고, 현행 물 관리 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에 대한 전문가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우리나라의 물 관련 전문가들은 물 관리 행정체계의 가장 큰 문제를 '부처간 물 관리 정책조정의 실패(55.8%)'로 인식하고 있고, 대안으로 새로운 통합 조정 조직인 '(가칭)물 관리위원회의 신설'(77.0%)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조직의 신설 없이, 하부조직, 수도, 통계 등 세부적인 물 관련 업무를 통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환경부로의 통합을 지지하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문가 인식조사에 기초할 때, 우리나라의 물관리 행정체계는 통합 조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될 필요가 있으며, 개발보다는 보전의 관점에서 수량보다는 수질을 중심으로, 새로운 조직의 신설 또는 환경부로의 통합을 통 해 효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지용, 물 관리체계의 구조조정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8.
  2. 김인환, "물 관리체제의 효율화방안-법제 및 행정 체제를 중심으로", 환경정책, 제5권, 제1호, 1997.
  3. 윤경준, "물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쟁점과 대안", 현대사회와 행정, 제18권, 제1호, pp.47-69, 2008.
  4. 안형기, 물 관리정책의 진화과정과 4대강 정비사업,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9.
  5. 한국수자원학회.한국행정연구원, 우리나라의 발전적인 물 관리체제 구축방안, 1998.
  6. 노재화, 물 관리 기본법 제정에 대한 논의와 과제, 2003.
  7. 박성제, 수자원 관리체계의 변화에 따른 법 및 제도의 정비방안 연구, 국회입법조사처, 2010.
  8. 김철회, "물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해외사례와 시사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9권, 제12호, 2009(12).
  9. 안경섭, "정부 물 관리 정책기능 중복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3권, 제3호, 2012.
  10. 김종익, "우리나라와 EU 물 관리체계의 기초적 비교 분석", 환경과학논집, 제16집, 2012.
  11. 이태관, "한국과 일본의 물 관리행정 비교 고찰", 일본근대학연구, 2013.
  12. 이기영, 지방 주도의 유역물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1.
  13. 이상헌, "한국의 근대적 물 관리체제 형성과 이에 대한 성찰적 운동 전개과정에 대한 연구", 경제와사회, 2005년 겨울호, 2005.
  14. 안경섭, "정부 물 관리 정책기능 중복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3권, 제3호, 2012.
  15. 안형기, "물 관리정책의 진화과정과 4대강 정비 사업",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9.
  16. 최지용, 물 관리체계의 구조조정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8.
  17. 박성제, 수자원 관리체계의 변화에 따른 법 및 제도의 정비방안 연구, 국회입법조사처,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