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PL Strategy Comparison of British - American and K-POP music videos

영미권과 K-POP 뮤직비디오 내 PPL 전략 비교

  • Received : 2013.08.28
  • Accepted : 2013.10.10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reviews PPL in domestic and foreign music videos with reference to possibility of connecting K-POP music videos and PPL in industrial perspective and establishes a successful PPL strategy for K-POP. For this, their success factors are drawn through content analysis method for PPL examples in K-POP and foreign(British-American) music videos. The study analyzes PPL strategies in K-POP and foreign music videos by content analysis of PPL exposure frequency and time, PPL placement type, PPL products group type, advertisers, etc. According to the study, PPL product lines as well as fashions need to be diversified in K-POP music videos. The study also shows that it needs to apply the PPL strategy used in foreign music videos which are focused on exposure time rather than exposure frequency. In addition, it turned out to be important to establish more bold PPL placement exposure strategy in K-POP music videos. Therefore, the study is to offer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required for successful PPL strategy in K-POP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산업적인 관점에서 K-POP의 뮤직비디오와 PPL과의 연계 가능성과 관련하여 국, 내외 뮤직비디오를 대상으로 PPL을 비교, 검토하여 K-POP 에서의 성공적인 PPL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K-POP과 해외 뮤직비디오(영미권)에서 나타난 PPL의 사례를 내용분석하고 이들의 성공 요인을 도출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PPL 노출횟수 및 노출시간, PPL 배치유형, PPL 제품군 유형, 그리고 광고주 등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K-POP과 해외 뮤직비디오 PPL 전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K-POP 뮤직비디오에서는 패션 뿐 만 아니라 PPL 제품군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출횟수 보다는 노출시간에 초점을 맞춘 해외 뮤직비디오의 PPL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K-POP 뮤직비디오에서는 보다 과감한 PPL 배치 노출전략 세우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K-POP에서의 성공적인 PPL 전략에 필요한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호진, 박영일, 신한류와 방송 콘텐츠의 글로벌화 방안, 한국방송학회 세미나자료, pp.7-25, 2011.
  2. 이뢰, 한국문화 노출 및 개인적 자원이 몰입 및 K-POP 선호도와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2.
  3. 손승혜, 유럽의 한류와 K-pop 팬덤 형성 과정과 그 의미: Korean Connection의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류2.0 시대의 진단과 분석, pp.79-98, 2009.
  4. 심정욱, "뮤직비디오 이용이 청소년의 현실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 계발 효과 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제19권, pp.120-154, 2011.
  5. 김호영, 윤태진 , "한국 대중문화의 아이돌 시스템 작동방식: 아이돌 문화 생산.소비의 이중적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3권, 제4호, pp.45-81, 2012.
  6. 장규수,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 연구", The journal of Global Cultural Contents, Vol.2, pp.217-238, 2009.
  7. 김주연, 안경모,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 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 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516-524, 2012.
  8. 서철현, 양진연 , "중국인이 지각하는 한류의 K-pop 속성이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4호(통권 93호), pp.1917-1938, 2012.
  9. 서정환 , "케이팝의 엔터테인먼트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제24집, pp.55-72, 2012.
  10. 성충모, 간접광고 효과의 측정 : 영화에서의 PPL광고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1. S. Elliott, Product placement is under new attack, New York Times, 141, D4, 1992.
  12. P. B. Gupta and K. R Lord, "Product placement in movies: The effect of prominence and mode on audience recall,"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Vol.20, No.1, pp.47-59, 1998. https://doi.org/10.1080/10641734.1998.10505076
  13. 한성희, 여정성, "TV 프로그램 속의 PPL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와 영향력 분석", 소비자학 연구, 제18권, 제1호, pp.1-20, 2007.
  14. 김봉현 , "TV 프로그램 내 간접광고로서의 PPL 운용 및 규제에 관한 소비자 인식조사 연구", 광고학연구, 제16권, 제2호, pp.233-261, 2005.
  15. 문철수 , "방송광고 정책, 과제와 대안: PPL을 중심으로", 방송연구, 제61호, pp.59-84, 2005.
  16. E. Steortz, The cost efficiency and communication effects associated with brand name exposure within motion pictures, master's thesis, West Virginia University, 1987.
  17. 김문한, 이은미, 최학준, "새로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 PPL", 經友論集, Vol.33, pp.40-64, 2002.
  18. J. A. Karrh, "Effects of brand placement in feature films: The practitioners'view," in The Proceedings of the 1994, Conference of the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pp.90-96, 1994.
  19. http://www.nytimes.com/2010/07/06/business/media/06adco.html?_r=0)
  20. 차영란, "유료방송시장의 광고규제 정체 원인과 규제완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123-13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123
  21. L. Babin and S. T. Carder, "Viewers' Recognition of Brands Placed within a Film,"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15, No.2, pp.140-151, 1996. https://doi.org/10.1080/02650487.1996.11104643
  22. S. Sabherwal, J. Pokrywczynski, and R. Griffin, "Brand Recall for Product Placement in Motion Pictures: A Memory-based Perspective," Paper Presented to The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o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1994.
  23. 김재휘, "광고 속의 광고에 대한 효과: TV-CF에서 제시되는 PPL의 광고효과", 한국광고학회 연차학술 대회 발표 논문집, pp.40-45, 2002.
  24. 이시훈, 표세동, "게임 내 PPL 제품의 브랜드 친숙도와 PPL의 형식적 특징이 브랜드 회상과 재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2호, pp.395-424, 2009.
  25. 편석환, "영상 광고 형태인 PPL 유형에 따른 효과에 관한 연구: 개인의 인지 욕구와 제품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 현상과 인식, 제95호, pp.129-153, 2005.
  26. A. Finn, "Print and recognition readership recognition.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5, pp.168-177, 1988. https://doi.org/10.2307/3172648
  27. J, F. Engel, D. Roger, Blackwell, and M. Paul, Consumer behavior, Seventh Edition, Dryden : Fort Worth, 1993.
  28. 최지원, 조창환, "영화 속 PPL의 배치 유형과 PPL 관련 퍼블리시티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영화 <뜨거운 것이 좋아>에 배치된 PPL 브랜드 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1권, 제4호, pp.240-273, 2009.
  29. 김영식, 권중문, 지현호, "국내 뮤직비디오의 영상적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연구", 사진학회지, 제7권, pp.74-82, 2000.
  30. 진창현, "TV 광고에 나타난 애니메이션 캐릭터 내용 분석",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1권, 제4호, 2009.
  31. 남경태, "내용분석을 이용한 영화 속 BPL 연구: 쟝르와 시기에 따른 차이",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1권, 제1호, pp.166-20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