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jectories of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after their retirement: A longitudinal Growth Curve Model

은퇴 후 생활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요인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 김동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유병선 (경기복지재단 정책지원팀) ;
  • 정요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 오영광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Received : 2013.02.05
  • Accepted : 2013.04.03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to analyz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fter their retirement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etirement and family relationship have an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Korean elderly, who had been retired, using the data from three waves(1st wave(2005)~3rd wave(2009)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Panel(KReIS). Data analysis has been use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the intercept and slope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focusing the trajectories of th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tirement characteristics and family relationship with application of the growth curve model by Amos 20.0. First, the intercept of th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was somewhat below average. Life satisfaction averagely increased little by little from 1st wave to 3rd wave. Second, by conducting the conditional growth curve model, the study revealed that the intercept of th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is high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sex, educational level, income, health status) and in retirement characteristics(voluntary retirement)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and married life). Furthermore, health status, voluntary retirement,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asserted the meaningful variables in the slope of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본 연구는 은퇴 후 생활만족도 발달궤적의 변화를 분석하고, 개인, 은퇴, 가족 특성이 은퇴 후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 1차조사에서 3차조사까지에 해당하는 2005년에서 2009년 자료에서 1차 년도에 은퇴를 한 1,57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AMOS 20.0을 활용한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은퇴 후 생활만족도는 보통에서 약간 못 미치는 초기값을 가졌으며, 첫 번째 측정시기부터 3차년도 측정시기까지 은퇴후 생활만족도가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건형 잠재성장모형을 수행한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는 성별, 교육수준, 소득, 건강상태가, 은퇴특성으로는 은퇴자발성여부가, 가족 특성에서는 가족관계만족도 및 부부생활만족도가 은퇴 후 생활만족도의 초기값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퇴 후 생활만족도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개인적 특성에서는 건강상태, 은퇴 특성에서는 은퇴자발성 여부, 가족특성 중에서는 가족관계만족도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