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ial Structure Analysis of Traditional Periodical Market using Space Syntax Method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전통정기시장 공간구조분석 -평창 대화장을 중심으로-

  • 정대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관광학과) ;
  • 윤아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관광학과) ;
  • 윤지환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관광학과) ;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3.08.10
  • Accepted : 2013.09.11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Due to the decline of a rural community, traditional periodic markets regarded as a center of an agricultural village have been gradually downsized. While researchers have made a counterproposal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periodic markets, there has limit in examining how spac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periodic markets affect visitors.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space structure and visitor circulation using a space syntax, a quantitative analysis focusing on PyeongChang Daehwa market. The finding revealed high degree of unification and clearness which means overall space structure was efficient for visitors to recognize and move across the space. However, there is required to build strategies encouraging consumption. The result of analyzing visitor circulation showed the degree of unification is the highest in visitor circulation where center of the market or main facilities is located. In sum, in order to revitalize deserted traditional periodic markets, rural communities need to work out strategies to encourage consumption and expand both information desk and convenience facilities.

최근 농촌지역이 쇠퇴하면서 농촌사회의 중심공간이었던 전통정기시장이 점차 축소되고 상권이 붕괴되면서 존폐를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통정기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사회적, 지리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5일장이었던 평창 대화장을 대상으로 정량적인 분석방법인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공간구조 및 보행동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인 공간구조는 통합도와 명료도가 높게 나타나 방문객이 전체 공간을 인지하고 이동하기에 효율적인 구조이지만 소비를 촉진시키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보행동선을 분석한 결과 시장의 중심부에 위치하거나 주요시설 주변에 분포하는 동선의 통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전통정기시장은 단순하고 명료한 공간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으며, 쇠퇴한 정기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장소성을 강화하고 방문객의 소비를 촉진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은, & 최윤경. (2012) 국내 복합상업시설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32(2), 51-52.
  2. 김성훈. (2006). 한국의 정기시장.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김영기. (2012). 쇠퇴한 강원도 정기시장 활성화 방안으로서의 농산물 직거래시장 도입방안 연구-일본 산직시장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강원논총, 5(5), 57-79.
  4. 김영욱. (2000). 공간형태와 공간인식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0), 37-44.
  5. 김진영. (2010). 모란시장의 변화와 의미재구성에 관한 연구. 중앙민속학, 15, 61-97.
  6. 남윤형. (2011). 전통시장 지원정책 방향 재정립에 관한 연구. 서울: 중소기업연구원.
  7. 문정은, & 김봉애. (2011). 면세점 판매공간구조와 매출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설영 면세점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7(9), 91-100.
  8. 박석희. (2000). 관광루트에 있는 재래시장의 관광자원화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4(1), 9-24.
  9. 박종구, & 이성훈. (2006). 공간구문론(Space Syntax)분석에 의한 세대별 박물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대공간과 전시공간 연결방식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5(5), 247-254.
  10. 박태욱. (2008). 인지적 관점에서 바라본 테마파크 진입공간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연구. 9(1), 401-411.
  11. 송나균, 여정태, & 고동완. (2009).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전통마을 여가공간의 보행동선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7(1), 1-8.
  12. 시장경영진흥원. (2012). 2012년도 전통시장 및 점포경영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시장경영진흥원
  13. 안은희, &이경훈. (2002). 의류상가 쇼핑환경에서 길찾기의 정도와 매출 이익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8(12), 11-18.
  14. 오충원. (2004). GIS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도시공간구조분석. 지리학연구, 38(4), 573-583.
  15. 유광민, & 김남조. (2009). Space Syntax를 이용한 관광자원 개발전략 -양주시 유양동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3(6), 75-92.
  16. 유광민, & 최영석. (2012).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주제공원의 공간 구성 분석. 관광학연구, 36(4), 59-80.
  17. 이성철. (2010). 전통정기시장의 관광자원화에 관한 연구. 농촌관광연구, 17(2), 71-85.
  18. 이용선, 국승용, 정은미 & 조경출. (2007). 정기시장의 구조와 기능 변화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 이용선, & 김영욱. (2012). 복합 상업시설의 상권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2(2), 55-56.
  20. 이정림, & 조용준. (2009). 호텔 진입공간의 유형별 인지특성 및 이미지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0(5), 9-13.
  21. 이재하. (1988). 한국의 정기시장 변화과정.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재하, & 홍순완(1992). 한국의 시장. 서울: 민음사.
  23. 이창언. (2010). 동해안지역 정기시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장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48, 523-558.
  24. 이태호, 반영훈, & 유남훈 (2011).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근린공원 시각적 접근기회 분석 -청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9(4), 28-38.
  25. 정금호. (2011). 농촌 오일장의 공간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전남 동부지역 오일장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4),149-156.
  26. 최영석, & 최승담. (2012). 공간구문론에 의한 관광지 시설물의 공간위상학적 특성과 방문객 공간인지와의 관계분석. 관광레저연구, 24(4), 379-400.
  27. 중소기업청. (2006). 재래시장 활성화 종합계획. 대전: 중소기업청.
  28. 중소기업청. (2012.1.20). 보도자료: 중기청, 올해 특성화시장 육성위해 113억 지원.
  29. 황재홍, 안병주, 김주형, & 김재준. (2010). 공간 구조와 보행량 측정을 통한 대형 복합시설물 상가 임대료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0(6), 87-96. https://doi.org/10.5345/JKIC.2010.12.6.087
  30. Barnett, H. (1953). Innovation: The basis of culture change. New York: McGraw Hill.
  31. Beal, G., Rogers, E., & Bohlen J. (1957). Validity of the concept of stages in the adoption process, Rural Sociology, 22, 166-168.
  32. Pollet, D & Haskell, P. (1979). Sign Systems for Libraries: Solving the Wayfinding Problem. New york: R. R. Bowker Company.
  33. Cubukcu, E. (1979). Investigating Wayfinding Using Virtual Environments, The Ohio State University.
  34. Skinner, W. (1971). Geography of Marketing and Social Structure in Rural China.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24(1).
  35. http://www.culturecontent.com
  36. http://www.ngii.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