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모바일 웹 캡처 메모 시스템의 학습 완성도에 대한 연구

Mobile Web Capture notes system Research on learning maturity

  • 투고 : 2013.08.01
  • 심사 : 2013.09.03
  • 발행 : 2013.09.30

초록

본 논문은 모바일 웹 상에서 오프라인의 학습 내용을 복습 할 때 학습 동영상에 필요한 재학습 영역을 프레임 단위로 중요 영역만 캡처한다. 캡처된 프레임은 영상 중에서 진행된 학습 시간과 이미지의 형태로 저장하고 또한 설명에 대한 메모 기능을 함께 저장한다. 캡처 영역은 학습자에 필요한 영역만 재학습하는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캡처 프로그램의 구성은 학습 순서에 상관없이 선택한 순서에 따라 프레임 단위 캡처로 사용자 중심의 스토리텔링형 학습을 적용할 수 있다. 캡처 시스템 효과는 전체 학습에 비해 학습 시간을 절약하고 학습자 중심의 프레임 재구성으로 맞춤형 학습에 따른 학습 효용성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In this paper, on the web, offline mobile learning content to reinforce the learning of the video frame-by-frame necessary for re-learning area to capture only the important areas. The frame of the captured image and the image in the form of advanced training time saved and also a description of the notes feature to store. The area needed for the capture area re-learning the learner to learner-centered custom systems can be applied. In order to capture the learning program, regardles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lected frame by frame in order to capture the user-centric storytelling-based learning can be applied. Capture the full effect of the system compared to learning and learner-centered learning time-saving reconstruction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customized learning to play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effective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오현, 유형에 따른 반복학습 지도법이 수학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pp.56-58.
  2. 박연선, 디지털 방송에서 실시간 대화형 이미지 갤러리 구현, 서강대 석사학위 논문, 2001, pp.255-259.
  3. 박황기,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강의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pp.3.
  4. 김태환, 스마트폰 시대의 사용자 환경, 한국정보 과학회지, 제28권, 제5호(2010), pp.27-31
  5. 정소영, 이러닝 대안 스마트러닝 전환, 디지털타임스, 2011, pp.21-23.
  6. 박연선, 김정환, 남윤석, 정문열, TV 동영상 화면 캡처 서버-클라이언 트 애플리케이션 구현,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2005, pp.255-259.
  7. 김근형, 김시연, 이봉규, "모바일 콘텐트 서비스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콘텐츠 유형에 따른 요인분석", 2006, pp.89-98.
  8. C. A. Ellis, S. J. Gibbs, and G. Rein, "Groupware:Some Issues and Experience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34(1991) Issue 1, pp.39-58. https://doi.org/10.1145/99977.99987
  9. C. Ullrich, R. Shen, R. Tong, and X. Tan, "A Mobile Live Video Learning System for Large-Scale Learning-System design and Evaluation", IEEE Transactions on Learning Technologies, Vol. 3(2010), No. 1, pp.6-17. https://doi.org/10.1109/TLT.2009.54
  10. M. Wang, R. Shen, R. Tong, F. Yang and P. Han, "Mobile Learning with Cellphones and PocketPC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3583, 2005, pp.332-339. https://doi.org/10.1007/11528043_34
  11. N. Bhat and K. Nayar, "Ordinal measures for image correspondence", IEEE Tra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2009, pp.415-423.
  12. N. Cavus, D. Ibrahim, "m-Learming: An experiment in using SMS to support learning new English language word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40(2009), Issue 1, pp78-91 https://doi.org/10.1111/j.1467-8535.2007.00801.x
  13. J. Grudin, "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Work: History and Focus", IEEE Computer, Vol.27(1994), No.5, pp.19-26.
  14. Heath, B. Herman, R. Lugo, G. Reeves, J. Veter,R. & Ward, C. R, "Developing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to support virtual education communities", THE Journal, 32(8), y, 2005, pp.33-37.
  15. S. G. Deshpande, J-N. Hwang, "A Real-Time Interactive Virtual Classroom Multimedia Distance Learning System", IEEE Transactions on Multimedia, Vol. 3, No. 4, 2001, pp.432-444. https://doi.org/10.1109/6046.966115
  16. S. Jeon, Y. Jo, D. Kim, K. Kim, D. Seo and I. Jung, "Implementation of English E-Learning System Based on .Net Framework", Proc.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umer Electronics, 2011, pp883-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