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stimation of the Standard Cost of Project Management of Empowerment Sector in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일반농산어촌개발 지역역량강화사업비의 적정요율 산정

  • Choi, Young-Wan (Insti.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Hyun-Yong (Infomaster co., Ltd.) ;
  • Kim, Young-Joo (Dept. of Agricultural Eng.(Insti.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최영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박현용 ((주)인포마스터) ;
  • 김영주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3.09.02
  • Accepted : 2013.09.26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existing standard cost of project management of empowerment sector in general rural development project has problems with standard cost system withou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mpowerment project and unclear division of works. These problems are a lot of trouble to fulfill the project. Thus, it needs an arrangement of standard cost considering detailed characteristics of project management in the empowerment sector.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o set accurate standard cost, we carried out three-step processes, such as elicitation of standard works, calculation of workload and determination of standard cost. (1) In an investigation of 30 rural area dividing 8 parts about an workload of empowerment project, an average workload is 1,499 hours. (2) Based on this results, the standard cost is calculated at 15% of project cost in over 600 million won, at 28.75% of project cost in under 500 million won, by standards of empowerment project cost. 2) It set the responsibility management cost to 15% of empowerment project cost considering existing awareness, workload and work professionalism of project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ed the practical use as basi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future empowerment projects. To achieve this, It needs to promote maximizing results on the whole project through the legalization processes including amendment of existing regulations.

Keywords

References

  1. 강황선, 주운현, 2009, 공공시설의 합리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요율산정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Vol.13, No.3 : 179-207.
  2. 김승근, 2009,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통해 본 주민참여와 진행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농촌건축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 : 57-64.
  3. 김양현, 2004, 투입인력 기반 건설사업관리 대가산 정 프로세스 개선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우제, 권문주, 2010, 소프트웨어 사업대가기준 중 장기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5, No.1 : 139-155.
  5. 농림축산식품부, 2013, 2013년도 농산어촌지역개발 사업 관계자 워크숍 자료 : 3-28.
  6. 박경, 2007, 농촌발전을 위한 지역 역량강화 방안, 충남발전연구원, 열린 충남, 통권 39호(2007년 여름 호) : 33-57.
  7. 오승영, 2009,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연구 -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승택, 2003, 농어촌정비법 위탁요율 산정 연구, 농업기반공사.
  9. 이종용, 2004, 주요국 설비제공대가 산정방식에 대한 사례 분석,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 565-568.
  10. 이주용, 2011, 자율적 농어촌지역개발사업 평가지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조상필, 2010, 농식품부 포괄보조사업 계획의 효율적인 수립방안, 전남발전연구원, 녹색전남, 통권 제66호 : 84-103.
  12. 진경호, 2009, 설계 등 용역 사업의 실비정액가산방식 도입현황, 건설관리, Vol.10, No.1 : 337-339.
  13. 허주열, 2009,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있어서 주민 참여 수준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농촌 마을 종합개발사업 지구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30개 권역 기본계획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