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로 및 철도의 종단선형 탐색을 위한 벡터방식의 Vertical Control Point 처리기법 연구

Management of Vertical Control Points by Vector Method for Determination of Highway and Railroad Vertical Alignment

  • 투고 : 2013.02.27
  • 심사 : 2013.05.08
  • 발행 : 2013.09.30

초록

선형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수많은 정량적 또는 정성적인 인자들에 대하여 최신 IT기술을 접목하고 컴퓨터의 빠른 연산기능을 이용하여 단시간에 좀 더 많은 선형을 검토할 수 있는 선형 최적화 기술은 그동안 주목할 만 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특히 선형 최적화시 정량적인 설계요소의 정확한 반영과 수준 높은 성과품 출력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설계기술자의 수준을 요구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런 요구사항에 부응하여 본 연구는 종단선형 최적화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한 보다 정밀한 Vertical Control Point(VCP) 적용구간을 탐색하고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는 벡터방식을 이용한 VCP처리 기법으로 빠른 탐색 과 정확한 적용구간을 계산해 냄으로서 종전 래스터방식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종단선형을 도출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래스터 방식에 비해 벡터방식을 적용 할 경우 정밀도가 향상 되리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선형최적화 기술의 선결조건인 처리속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벡터방식을 적용 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There have been noticeable developments for the optimization of the highway and railroad alignments with the IT and computerized tools. The designers expect that all of the quantitative design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which can be useful for the vertical alignment design. It provides a accurate "vertical control point" searching method, and makes the vertical alignment optimization more efficiently. The vector method makes the searching faster and calculates more accurate application sections. The results from this method generate more reliable vertical alignments than the conventional raster method for less computation time.

키워드

참고문헌

  1. Antenucci, John C. (1991).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Chapman & Hall, N.Y., U.S.A.
  2. Han, C. B., Chang, Y. G. and Kang, I. J. (1999). Determination of optimal align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roadway design, Urban Research Report, Pusan National University, Vol. 8, pp. 83-92 (in Korean).
  3. Kim, K. J. (2006).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determination method for optimal roadway route." Jouran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Korea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30, No. 8-4, pp. 159-179 (in Korean).
  4. Lee. J. D. (2001). "Route development using gis and neural networks." Journal of KSCE, KSCE, Vol. 21-4, pp. 393-404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