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업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의 주요 공정 시퀀스 분석을 통한 리스크 평가

Project Risk Assessment Through Construction Sequence Analyses for Industrial Plant Construction Projects

  • 이규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부) ;
  • 최재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부)
  • 투고 : 2013.03.15
  • 심사 : 2013.06.18
  • 발행 : 2013.07.31

초록

2011년과 2012년 국내건설기업의 해외건설시장 공종별 수주구조는 플랜트분야가 약 645억 달러(전체의 73%)로 타 건설분야에 비해 압도적이며 수주금액 또한 역대 최고액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플랜트 건설시장의 비중과 수주율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하지만 국내 기업이 보유한 플랜트 건설기술은 상세설계와 건설시공 분야에서 비교적 높은 경쟁력을 보이나, 엔지니어링의 원천기술 및 기본설계 분야와 사업관리 분야는 기술 선진국의 60%~70% 내외이다. 국내 기업의 사업관리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랜트 건설 공정관리 기술의 고도화와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리스크의 체계적인 평가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플랜트 건설프로젝트의 주요 공정 시퀀스 모델을 개발하여 프로젝트 초기에 공정계획 수립의 주요 항목설정과 공사의 흐름 및 공정 간의 연관관계 등을 명확하게 정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공종별 주요 액티비티 분석을 통해 주요 공정 시퀀스를 도출하였고, 퍼지이론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수행 단계별 위험도 평가 방안의 개발 및 중점 관리 공정 프로세스를 제시함으로써 산업플랜트 건설 프로젝트 공정개발과정과 주공정 수행과정의 리스크 분석에 용이성을 향상할 수 하도록 하였다.

In 2011 and 2012, Korean construction firms awarded around $ 64.5. Billion each year from the overseas market in 2011. This contract value accounted for overwhelming portion of total overseas construction contract values, and this growth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next decade. However, contract scopes awarded to the Korean construction firms mainly involve detailed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due to their competitiveness for the construction techniques. In other words, front-end-engineering-design and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re not considered part of core business due to the lack of project management skills and experience. The researchers focused on development of construction sequence model required to improve constr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skills for the Korean construction firms. The model identifies critical work items and the sequence throughout project execution process. In addition, the researchers developed a risk evaluation method by applying fuzzy theory to the critical construction activities for the industrial plant construction projects. Developed methodology will help project practitioners to develop project schedule in a timely and effe ctive manner and evaluate project risks associated with scheduling process for the industrial plant construction projec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석.문현석.지상복.이태식 (2008). "플랜트공사 관리 효율화를 위한 공정정보 시각화 시스템의 주요 기능 구성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1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66-76
  2. 김창한 (2009). "실무자를 위한 해외플랜트 구매조달 리스크 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3. 문성우.박상천.권기남 (2009). "초기 사업단계에서 표준공정모델을 이용한 가스 플랜트 공사의 개략적 공사기간 산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6-33
  4. 박의승.유호선.이재헌 (2011). "해외 발전플랜트 EPC 사업의 리스크 분석 및 관리방안." THE PLANT JOURNAL, 제7권 제2호, pp. 48-64
  5. 윤상진 (2008). "오일 및 가스 프로젝트의 리스크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THE PLANT JOURNAL, 제4권 제3호, pp. 6-18
  6. 이영남 (2007). "플랜트 프로젝트 표준화 기술 개발." 건설교통부 건설핵심기술연구개발사업 제2차년도 최종보고서
  7. 장우식.홍화욱.한승헌 (2011). "해외 LNG플랜트 리스크요인 도출 및 우선순위 평가 -설계단계를 중심으로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5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46-154
  8. 조홍현, 유호선(2011), 석유화학 플랜트 EPC 사업의 진도율 산정표준의 제안, 플랜트 저널, 제7권 제2호, pp. 77-87.
  9. 최형래.김현수.박서영 (2009). "플랜트 프로젝트EPC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사업관리 활성화 방안."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9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656-660
  10. 하태휴 (2002). "퍼지이론을 응용한 구조물의 성능평가 모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p. 401
  11. 한기돈.허진혁.문승재.유호선 (2010). "플랜트 유틸리티 시공에서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THE PLANT JOURNAL, 제6권 제1호, pp. 64-70
  12. 홍대선 (2011). "공학도를 위한 퍼지시스템 입문." 문운당
  13. Aminah Robinson Fayek, Aydele Odub (2005). "Predicting Industrial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Using Fuzzy Expert System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1, No 8, pp. 938-941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5)131:8(938)
  14. He Zhi (1995). "Risk Management for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Vol 13, No 4, pp. 231-237 https://doi.org/10.1016/0263-7863(95)00015-I
  15. Ren-Jye Dzeng, Iris D. Tommelein (2004). "Project Modeling to Support Case-based Constr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3, pp. 341-360, 2004 https://doi.org/10.1016/j.autcon.2003.10.002
  16. S. H. Zegordi, E. Rezaee Nik, A. Nazari (2012). "Power Plant Project Risk Assessment Using a Fuzzy-ANY and Fuzzy-TOPSIS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Vol 25, No 2, pp. 107-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