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Organization Scale in Construction Management -Focusing on Building Construction-

건설사업관리(CM) 관리인력 규모산정을 위한 사례연구 - 공공공사 건축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

  • 안상현 ((주)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
  • 김진대 ((주)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 Received : 2012.11.20
  • Accepted : 2013.04.29
  • Published : 2013.07.31

Abstract

While growth of domestic CM market has slowed down due to economic recession, it recently shows sign of scale as some public agencies are relocating their headquarters. Since the introduction of CM system, a number of client organizations have acquired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capabilities, however, sufficient efforts are not made to estimate the size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organization. This study drew a method for estimating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 by utilizing statics analysis and project costs per member based on 10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nd tried to review applicability through case studies. Wit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ake a contribution to achieving smoother work performance and succes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by estimating and allocating proper scale of management workforce.

국내 CM현장은 경기침체로 인해 성장이 다소 둔화되고 있지만 최근 공공기관 이전사업 등으로 인해 CM시장은 꾸준한 규모를 보이고 있다. CM제도가 도입된 이래로 다수의 발주기관들이 건설사업관리 역량을 점차 보유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건설사업관리 조직 규모 산정을 위한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사 건축공사 10개소 사례를 바탕으로 통계분석과 관리인력당 사업비를 활용하여 건설사업의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전체 관리조직의 규모 산정 방법을 도출하였고 Case Study를 통해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적정 관리인력 규모 산정 및 투입으로 건설사업의 원활한 업무수행과 성공적으로 사업을 수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11). 2011년도 건설사업관리자 CM능력 평가 공시
  2. 건설산업선진화위원회 (2009). '건설사업의 선진화 비전 2020'
  3. 윤명현 (1999). "국내 건설공사 현장 조직 구성 및 운영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정영수.우성권.박지호.강승희.이영환.이복남 (2004).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발주자 업무기능 역량평가".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5권 제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28-136
  5. 장철기.김우영 (2008). "공공발주자 기능과 역할의 현안진단 및 개선방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6. 이시욱.우성권.김옥기 (2009). "건설사업 발주자 조직 역량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권 제1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46-155
  7. 권기덕.김선국.손효원.김선형.이동훈 (2010). "건축현장 관리인력의 생산성 영향요인 조사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기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10권 제1호, pp. 153-157
  8. 박진우 (2010). "건설사업관리의 프로세스 조직모델 모입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B. Shiazi (1996). "Organization Structur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Vol. 14 Issue 3, pp. 199-212 https://doi.org/10.1080/014461996373467
  10. Paul Chinowsky (2007). "Learing Organizations in Construction".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Vol 23. No 1, pp. 27-34 https://doi.org/10.1061/(ASCE)0742-597X(2007)23:1(27)

Cited by

  1. Organizational Structures Re-Design for the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or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of Construction Projects vol.16, pp.1, 2015, https://doi.org/10.6106/KJCEM.2015.16.1.092
  2. A study on the method for the Integrated Cost Estimate based on Project(ICEP) of program management with typical model vol.16, pp.1, 2015, https://doi.org/10.6106/KJCEM.2015.16.1.119
  3. A Study on the Method for the Estimate of Construction Management in the Program Management vol.15, pp.5,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5.003
  4. An Analysis of the Market Structure Change in Construction Management Industry - Based on Public Announcement Data of CM Capabilities, 2004~2012 - vol.30, pp.7, 2014, https://doi.org/10.5659/JAIK_SC.2014.30.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