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머니의 직업활동이 선천성 근육사경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Work Activity an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 투고 : 2013.06.12
  • 심사 : 2013.07.29
  • 발행 : 2013.09.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근육사경과 산모의 직업적 활동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06년부터 2011년 4월까지 수원 "C" 병원 재활의학과를 내원한 선천성 근육사경아동의 산모 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출산 평균연령은 30.09세,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이 많았으며, 초산이 82.0%로 나타났으며, 자연분만, 제왕절개, 흡입분만 순이었고, 분만 시 둔위여부는 20.2%로 나타났으며, 첫째 아동이 사경인 경우가 82.0%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대상자의 직업적 특성에서 직장생활을 한 산모가 59.6%이고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가 45.3%를 차지하였고, 직장생활을 임신 3기까지 한 산모가 75.5%로 나타났고, 주로 서서 일하는 자세보다 앉아서 일하는 자세로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7시간 이상이 54.7%로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8.75시간으로 나타났고, 셋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하위 25%이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별 정도에선 관계갈등영역에서만 상위 50%이상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적 업무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스트레스(100점 환산)와 직무스트레스의 직무요구, 관계갈등,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와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문화와 보상 부적절간에도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직업적 업무 중 하루 평균 근무시간과 평균 일주일 근무시간과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nd maternal work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89 outpatient pregnant women whose child presente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t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of "C" Hospital in Suwon within the period from 2006 to April 30, 2011.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mean age at the time of giving birth was 30.09years; the proportion of pregnant women with college education or higher was high; the proportion of first delivery was 82.0%; the most common way of delivery was natural childbirth, followed by Cesarean section and vacuum extraction; the proportion of breech delivery was 20.2%; and in 82.0% of the women, the first child ha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2) 59.6% of the women had a career; 45.3% had engaged in professional practice or had a related job; 75.5% had worked until the third trimester of their pregnancy; 54.7% had worked for seven hours or more in a seated position; and the mean number of working hours was 8.75 (3)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was a low 25% or less, and in the subdivisions of work-related stress, only the level of strained relations belonged to the upper 50% or higher. (4)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rvey respondents' job stress and job features, stress (full score: 100 point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demand, strained relations, inadequate reward, and workplace culture. Workplace also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inadequate reward. Mean daily working hour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n weekly working hours.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00.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09.
  3. 신용덕, 이태용, 이영수, 이동배, "모성 직업 활동이 조산과 저체중출생 및 자연 유산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제6권, 제1호, pp.69-84, 1994.
  4. G. Fulford and J. Brown, "Position as a cause of deform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18, pp.305-314, 1997.
  5. T. T. Do,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current concepts and review of treatment," Curr Opin Pediatr, Vol.18, pp.26-29, 2006.
  6. F. Thompson, S. McManus, and J. Colville, "Familial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Clin Orthop, Vol.7, No.202, pp.193-196, 1986.
  7. 임신영, 이일영, 박명철, 김장희, "사경의 감별진단 및 치료", 대한의사협회지, 제52권, 제7호, pp.716-729, 2009.
  8. 조계희, 김재영, 이일영, 임신영, "형제에서 발생한 선천성 근육성 사경", 대한재활의학회지, 제33권, 제6호, pp.731-734, 2009.
  9. A. D. McDonald, J. C. McDonald, and B. Armstrong, ‟Prematurity and work during pregnancy," Br J Int Med, Vol.45, pp.56-62, 1998.
  10. L. Ellen, Barbare. Luke. Mozurkewich, Avni. Michal and M. Wolf. Fredric, ‟working conditions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a Meta-Analysis," Obstert Gynecol, Vol.95, No.4, pp.623-635, 2000. https://doi.org/10.1016/S0029-7844(99)00598-0
  11. 김효선, 이강숙, "간호직 및 사무직 여성의 직업적 활동과 위해한 임신결과와의 관련성", 대한산업보건학회지, 제39권, 제1호, pp.29-40, 2000.
  12. M. J. Saurel-Cubizolles, J. Zeitlin, and N. Lelong, ‟Employment, working conditions and preterm birth: Results from the Europop case-control surve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58, pp.395-401, 2003.
  13. M. A. Diego, T. Field, M. Hermandez-Rief, S. Schanberg, C. Kuhn, and V. H. Gonzzalez-Quintero, ‟Prenatal depression restrict fetal growth," Early Human Development, Vol.85, No.1, pp.65-70, 2009 https://doi.org/10.1016/j.earlhumdev.2008.07.002
  14. 김숙경, 전문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이화여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5. 오명환, 여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생리와 임신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6. M. M. Chen, H. C. Chang, and C. F. Hsieh, "Predictive model for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nalysis of 1021 infants with sonography," Arch phys Med Rehabil, Vol.86, pp.2199-2203, 2005. https://doi.org/10.1016/j.apmr.2005.05.010
  17. 김종수, 선천성기형에 관한 임상적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8. Y. C. Tien, J. Y. Su, and G. T. Lin, "Ultrasonographic study of the coexistence of muscular torticollis and dysplasia of the hip," J Pediatri Orthopaedics, Vol.21, pp.343-347, 2001.
  19. 전미현, 간호사의 임신 중 노동에 관한 분석, 서강대학교 사회학과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1.
  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 조사 결과", 2006.
  21.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0.
  22. 박정선, 김성진, 깁봉년, 전홍진, 정진주, 이선화, 하미나, 장세진, 조정진, 조성일, 김성아, 우종민, 이채용, 고상백, 김수영, 김정연, 강동묵, 이숙,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의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3.
  23.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정진주, 조정진, 손미아, 채창호, 김정원, 김정일, 김형수, 노상철,박재범, 우종민, 김수영, 김정연, 하미나, 박정선, 이경용, 김형렬, 공정옥, 김인아, 김정수, 박준호, 현숙정, 손동국,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학회지, 제17권, 제4호, pp.297-317, 2004.
  24. 한국산업안전공단,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 2006.
  25. P. Nucci, B. J. Kushner, M. Serafino, and N. Orzalesi, "A Multidisciplinary study of the ocular, orthopedic, and neurologic causes of abnormal head postures in children," Am J Ophthalmo, Vol.140, pp.65-68, 2005.
  26. 최정현, 장재선, 김성철, "산모의 직업활동이 태아, 신생아 및 분만방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346-35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346